jack 잭
오디오 신호를 플러그에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 접속기구).
jam(session) 잼(세션)
뜻이 서로 맞는 연주자들끼리 미리 상의한 바 없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계획된 모임이든 아니든 간에 순수한 흥을 위해 즉흥연주를 하는 재즈맨들이 모여 합주를 하는 집회를 말하는 것이며, 정해진 프로그램이나 리더, 악보도 없이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잼 세션은 재즈와 그 청중이 서로 반목하게 되면서부터 사라지게 되었는데 연주인 연합회가 적절한 보수 없이 클럽에서 연주하는 것을 반대한 것도 그 하나의 이유였다.
jazz 재즈
1900년 전후 미국 남부 뉴올리언스 변두리의 흑인 및 크리올(흑인과 프랑스인과의 혼혈)들 사이에서 연주되어 형성된 춤이나 퍼레이드를 위한 음악이 1914년 경 누군가에 의해 jass 또는 jas, jaz 등의 명칭을 붙인 것이 그 시초였다고 하며, 어원은 ‘바보소동’ 을 의미한다.
재즈는 곡의 형식이나 곡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연주 스타일, 연주 그 자체에 대한 호칭이라는 점에 그 본질이 있다. 따라서 연주가가 항상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으며 감상자는 곡 보다는 연주 그 자체가 감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재즈라는 것이 즉흥연주를 필수로 하여 음악 중에서도 가장 자유로운 표현이 허용되며, 다양성, 다변성, 장래의 가능성을 가져 이제는 흑인음악을 넘어서 미국의 대중음악, 나아가 세계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현대음악의 양상으로 되었다.
재즈의 시대적 변천사에 따르는 스타일을 보면
① 뉴올리언스 재즈: 초기의 5~7인에 의한 소편성의 집단 즉흥연주 형식.
② 딕시랜드 재즈: 뉴올리언스 재즈에서 솔리스트에 보다 중점을 둔 것.
③ 빅밴드 재즈: 초기의 소 편성을 확대하여 수십 명으로 편성된 오케스트라 재즈로서 주로 댄스홀에서 연주되기 때문에 ‘댄스 밴드’라고도 하며 편곡의 특색이 중요시 되었다.
④ 스윙 재즈: 빅밴드가 번성하던 1930년대 중기~40년대 전기의 빅밴드나 소편성의 캄보연주.
⑤ 밥(bop): 스윙시대 재즈의 형식적인 답보를 타파한 화성진행, 소절의 해방에 따르는 새로운 연주 스타일-‘찰리 파커’, ‘찰리 크리스티언’, ‘디지 걸레스피’ 등.
⑥ 모던 재즈: 밥의 이념에 바탕을 둔 1950년대의 재즈.(쿨 재즈, 하드 밥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⑦ 전위재즈, 뉴 재즈, 프리재즈: 밥의 이디엄 idiom 이나 개념을 타파한 일련의 재즈운동으로 아프리카로의 회귀나 새로운 사운드를 추구한다.
⑧ 현대 재즈(contemporary jazz): 도시화되고 장르간의 벽을 허문 crossover 동시대 재즈로서 ‘밥 제임스’나 ‘데이비드 샌본’ 이 대표적이다.
재즈 감상의 초점은 솔리스트의 즉흥연주(내용과 테크닉-연주 중심으로서 즉흥연주 속에서 생생한 작곡활동을 감상하는), 악단의 경우는 편곡과 앙상블 등 작편곡가의 스타일(개성 있는 역량과 음악성), 당김음을 포함하는 스윙감을 들 수 있으며,
재즈사에 있어 위대한 스타일리스트로는 ‘루이 암스트롱’(솔로 연주의 중요성을 명시), ‘듀크 엘링턴’(작곡가로서의 재즈적 주장, 개성 등을 오케스트라에 의해서 구현), ‘찰리 파커’(재즈의 답보를 타파하고 감상적 재즈로서의 모던재즈를 확립)가 있다.
jazz combo 재즈 캄보
피아노, 드럼, 베이스를 기본으로 하고 리드 솔리스트로 구성된 최소한의 재즈 앙상블.
jete 제떼
휘두르는 것. 활 이용 기술 중 하나로 아래로 내릴 때 활의 윗부분이 현에서 튕겨나가듯 하는 것.(《웰리엄텔 서곡》에서 들을 수 있다)
jingle 징글
① 선전을 위해 작곡된 음악.
② 딸랑거리는 동그란 조각 금속악기.
jitterbug 지터벅
1930년대 전반에 ‘주정꾼’ 을 의미하는 슬랭(隱語, 은어)이었으나 30년대 후반부터 재즈에 열광하는 팬 또는 스윙 음악에 맞추어 미친 듯이 춤추는 사람을 부르는 말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지루박」 이라고 한다.
JMSC (japan MIDI standard comity) 제이·엠·에스·시(略, 져팬 미디 스텐다드 코미티)
일본 미디 규격 협의회.
jubilate 주벌레이트
시편 100편을 근거로 되어 있는 환희의 찬송가.
jug band 저그 밴드
‘저그’란 1갤런 들이 맥주 항아리를 뜻하며, 미국 포크 계열의 스트링 밴드로 저그병(입으로 불어 튜바 비슷한 소리를 낸다)과 기타, 밴조, 피들(fiddle; 컨트리음악에서의 바이올린 별칭) 또는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jump(blues) 점프(블루스)
리듬적인 요소가 첨가되어 발전된 블루스. 1930년대 후기에 스윙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 용어인데 튀는 듯한 바운스(bounce)리듬을 가진 재즈연주를 말한다.
jumper 점퍼
짧은 패치카드, 또는 짧은 연결선.
just intonation 저스트 인토네이션모든 음정이 조율된 것 보다는 적은 수로 비율이 표시되는 맑고 깨끗한 음정의 모든 튜닝 시스템.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용어 [ H-87 ] (0) | 2008.06.10 |
---|---|
음악용어 [ I-85 ] (0) | 2008.06.10 |
음악용어 [ K-21 ] (0) | 2008.06.10 |
음악용어 [ L-82 ] (0) | 2008.06.10 |
음악용어 [ M-63 ] (0) | 2008.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