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음악용어 [ K-21 ]

musicanova 2008. 6. 10. 11:46

Kapellmeister 카펠마이스터
본래는 예배당이나 왕가 음악의 지휘자를 뜻했지만, 현재 악장(樂長), 악단 또는 성가합창대의 지휘자를 말한다.

karaoke 가라오케
미리 녹음되어 있는 반주(미디 데이터를 포함)에 따라 노래 부를 수 있게 되어 있는 기기.

kazoo 커주
뿔 모양의 민속악기로서 장난감 피리의 일종.

kettle drum 캐틀 드럼
팀파니(timpani)의 별칭. 냄비 모양의 쇠로 된 링에 가죽이나 플라스틱 헤드가 부착되어 있고 튜닝 나사가 있는 타악기.

key fallow 키 팔로우
키보드의 위치. 키보드 상의 음정에 따라 음높이(pitch)이외의 파라미터도 조절하여 또 다른 음색표현을 모색케 하는 것. 키보드 위치에 의한 크로스페이드(positional cross-fade)효과를 낼 수도 있으며 건반과 음정의 역할을 색다르게 대응시킨다던지 복수계통의 음원을 가진 신시사이저에서 그 음색의 조합으로 피치 키 팔로우(통상은 1로 되어 있음)를 미세하게 구분하여 응용적으로 음 제작에 활용 할 수도 있다.

key map 키맵
개념도, 건반의 특정키들 및 키 스트라이크 벨로시티들에 할당된 샘플들의 집합. 키맵들에는 보통 몇 개의 키들에 걸쳐서 피치가 이동 된 많은 샘플루트들이 들어 있다. 따라서 타건 위치에 따라 그 음정의 표현을 구분할 수가 있다.

key scan 키 스캔
컴퓨터의 조작(연주)에 필요한 키 조작을 데이터 속에 미리 입력해 놓음으로서 연주 중의 표시화면 변경, 음원설정의 변경, 미디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있어서 컴퓨터 자체가 조작케 하는 것. 키 입력에는 버퍼(buffer)라고 하는 임시 저장장소가 있어 연주가 끝난 후에도 키 데이터에 따른 조작이 가능하다.

key signature 키 시그너츄어
조표. 곡의 조(key)를 파악하기 위해 #, b을 이용하여 보표(5선)에 지정해 놓은 상태이다.

key split 키 스플리트
건반의 어느 위치를 지정하여 분할시킨 뒤 그 한쪽 파라미터(음색이나 음량 등)를 다르게 세팅하는 것으로서 가변성 건반 변화인 키 팔로우(Key follow)와 대조적인 것이다.

key strike 키 스트라이크
타건 시 건반의 위치에 따라 벨로시티(음의 강도-정확히는 타건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편집기능.

keyboard 키보드
① 건반 ② 컴퓨터의 자판, 글쇠판

keyboard workstation 키보드 워크스테이션
하나의 몸체 안에 여러 종류의 미디 장비(키보드, 샘플러 플레이어, 시퀀서, 신시사이저,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버 등)를 내장한 시스템.

kicks 킥스
재즈에서 드럼이나 피아노 또는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악센트.

kilo 킬로
1000, 천(千)의.. 예를 들면, 1kHz는 1000Hz이다.

kit 키트
드럼악기 등과 같이 특정한 유형의 음색을 모아 놓은 것.

Klang 클랑(獨)
합성음. 어떤 법칙에도 지배되지 않고 절대 자유로 여러 가지 음이 합성된 화음으로서 감각적으로 요구될 때에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Klangfarbenharmonie 클랑파르벤하모니에(獨)
음색화성 즉, 음향. 현대음악에서 전자음악과 기존음악의 상호관련으로서 변모해온 음고 관계와 음색관계의 합성으로 밀집된(cluster 기법과도 연관됨)음향의 융단을 말한다. 단지 화성적 체계에 의한 구성의 집합체가 아닌 음색을 위한 조합체(additive synthesis)를 뜻한다. 즉, 신종 화성의 개념이며 리 게티, 크세나키스(클러스터 기법의 원조), 펜데레츠키 등이 대표적 작곡가들이다. ‘Klangfarbenmelodie’가 횡(橫)적인 음향 개념이라면 이것은 종(縱)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Klangfarbenmelodie(음색선율)

Klangfarbenmelodie 클랑파르벤멜로디에(獨)
음색선율. 「소리 -색체- 선율」을 뜻하는 점묘법적 선율이며 선율선(melody line)을 이루고 있는 각 음에다 잠재적인 음색변화라는 개념을 첨가시킴으로서 개개음의 독특한 특질들을 더욱 확대시켜 준다. 1918년 이후 반(反) 낭만적 운동(신고전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태동되어 드뷔시나 쇤베르크, 안톤 베베른 이후로 이어지는 현대 음악가들의 작품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독주악기들을 중심으로 한 실내 오케스트라에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Klangfarbenharmonie’가 종(縱)적인 음향 개념이라면 이것은 횡(橫)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Klangfarbenharmonie(음색화성)

korean harmony 코리언 하모니
한국 화성. 한국 음계에 있어서 첫째 음(tonic)을 각각 소프라노와 베이스 파트에 두고 이에 의한 병행법 및 투영법에 따라 화음이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나운영 식) 소프라노 파트에 대해 앨토 파트가 완전 4도가 되게 하며 베이스 파트에 대해 테너 파트가 완전 5도 위의 음이 되게 하는데 예외적으로 3음(미)에 대해서만은 장 3도 아래 또는 장 6도의 음이 되도록 수정하기도 한다. 종류로는 5, 7음계 다 같이 C를 중심으로 '레'와 '라'가 변화(♭; 陰)되기도 하며 이 음(陰), 양(陽)이 각각 궁조(宮調;'도'음으로 끝나는 것), 평조(平調;'솔'음으로 끝나는 것), 계면조(界面調;'라'음으로 끝나는 것),의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각 조는 전위형의 동일화음이 발생한다. 한국화성의 성부진행으로는 혼성합창으로의 편곡시 4부를 3부로 할때는 테너 파트를 생략하고 혼성4부를 피아노곡으로 편곡하려면 앨토 파트에 완전4도 아래의 음을 첨가시킨다. 선율적으로나 음향적 효과를 위해, 또한 내성간의 지나친 개리의 공허함을 피하기 위해 각 성부의 음들은 다소 변경될수 있으나 성부교차(over leaping)는 피해져야 하며 개념이 확대된 비화성음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궁, 평, 계면조 사이에서 자유스러운 전조가 가능하다.

krumm horn 크룸 혼(獨)
J 모양을 가진 르네상스 시대의 쌍으로 된 더블리드 악기종류 중의 하나.

kyrie 키리에
“하느님 자비를 베푸소서” 를 뜻하는 미사에서의 예배 식문 첫 부분.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용어 [ I-85 ]  (0) 2008.06.10
음악용어 [ J-13 ]  (0) 2008.06.10
음악용어 [ L-82 ]  (0) 2008.06.10
음악용어 [ M-63 ]  (0) 2008.06.09
음악용어 [ N-49 ]  (0) 2008.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