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 논 코드&노타 캄비아타
① nota cambiata(노타 캄비아타): 화성음 사이에 생기는 비화성음. ‘바꿔지남음’이라고도 한다. 도레파미, 미레시도 등 이중보조음인 도레도 미파미의 변형 비화성음.
② non chord(논 코드): 리듬만의 연주 등 코드심볼이 필요 없는 부분에서 사용되는 부호
naked fifth 네이키드 피프스
3음이 없는 3화음(open fifth)으로서 공허한 느낌을 주며 화음 구조상의 가장 중요한 3음이 생략되었기 때문에 기능적으로는 불완전한 울림이지만 헤비메탈 기타의 반주부에서, 또는 의도적으로 장, 단조의 구분을 모호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open chord(오픈 코드), C5, omit
NAMM (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merchants) 내셔널 어솟시에이션 어브 뮤직 머션츠
가장 대표적인 악기회사 단체로서 매년 1월에 NAMM show를 열어 신개발 악기들을 전시하고 있다.우리가 잘 아는 KORG 사의 M-1도 이 show에서 대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이에 따라 악기를 구입할 때에는 그 가격이 고가인 만큼 신중을 기하여 NAMM show가 끝난 다음에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까지 한다.
NAND gate 낸드 게이트
AND 논리소자 출력에 위상반전 기능을 첨가한 논리소자.
narrater 나레이터
해설자, 낭독자.
① 오라토리오, 수난곡, 칸타타 등에서 기본 줄거리를 말하는 사람으로서 주로 레치타티보(서창; 이야기풍)로 한다.
② TV나 영화에서 영상화면을 보조해주는 해설이나 설명을 해주는 사람. 다큐멘터리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화면에 의한 표현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③ 무성영화나 신파극에서의 변사(辯士)
Nashville number system 내쉬빌 넘버 시스템
50년대에 내쉬빌 출신의 뮤지션 ‘닐 매튜스 쥬니어’(Neal Matthews, Jr.)가 코드 대신 숫자로 표기했는데 이것은 곡을 이조하는데 있어서 굉장히 유용했고, 쉽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이후로 이 시스템이 음악산업의 기준처럼 되었다.
이것은 장음계(Major Scale)만 이해하면 쉽게 익힐 수가 있다.
도․레․미․파․솔․라․시(이태리어) = C․D․E․F․G․A․B(영어)
이 스케일을 숫자로 표기할 수 있는 것이다.
C(1)․D(2)․E(3)․F(4)․G(5)․A(6)․B(7) 조가 바뀌어서 G조가 되더라도 숫자는 그냥 똑같다.
G(1)․A(2)․B(3)․C(4)․D(5)․E(6)․F#(7) 이렇게 되고,
그럼 열두 개의 장음계를 숫자로 외우기만 하면 된다.(시작하는 음이 그 스케일의 키가 된다)
Nashville tuning 내슈빌 튜닝
기타에서 사용되는 튜닝의 하나로, 스탠더드 튜닝 3~6번 줄을 1옥타브 높게 튜닝하는 경우와, 4줄에서 6줄을 1옥타브 높게 튜닝하는 경우가 있다. 1옥타브 높여 튜닝하는 줄의 굵기(gage)는 가는 것(플레인 줄)으로 바꿔야 한다. 옥타브의 차이는 있지만 음 구성은 스탠더드 튜닝과 같으며 코드 폼도 같다. ☞ open chord
nationalism 내셔널리즘
국민주의, 민족주의 음악. 19세기 후반기에 민족고유의 음악요법, 또는 제제(題材)를 사용함으로서 작품 속에 민족적 감각의 양식을 내재시켜 창조하고자 하는 풍조.한정적으로는 19세기 전반부터 슬라브민족 사이에서 일어난 민족주의적 음악이념과 양식을 구축한 사람들을 뜻하며 러시아에서의 5인의 국민악파가 그 대표적이다.
natural horn 내추럴 호른
자연음 호른, 또는 관의 자연배음효과. 구멍이나 밸브가 없는 단순한 형태의 호른(나팔)이다. 자연음호른은 관의 길이에 해당되는 바탕음과 함께 배음에 있는 음들을 소리 낸다. (예를 들어 도(바탕음) -솔 -도 -미 - 솔 -시b) 배음들은 입술의 긴장도 변화를 통해 음을 "올려 불어서(over-blowing)" 선택적으로 나게 할 수 있다. 자연음 호른의 저음 영역에서는 5도, 4도 그리고 3도 화성의 음들이 소리 난다. 완전한 음계의 음들은 고음역에서만 가능하다. 반음들을 연주하기 위해서 부는 입김을 조절하거나 소리 깔대기에 손을 넣는 방법을 쓰기도 했으나 근본적인 처방이 되지 못했다. 악기의 일부 관을 바꿔 끼우는 방법을 거쳐 밸브를 장착함으로써 자연음호른의 단점이 극복되었다.
자연음 호른에 속하는 악기로는 짐승 뿔 나팔(도, Hilfthorn), 사냥나팔(도, Jagdhorn), 우편나팔(도, Posthorn)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나각(螺角)도 자연음 호른의 원리로 소리 낸다.
대위법에서는 숨은5도의 일종으로 독특한 상쾌함을 주는,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병진행이다.
neapolitan major scale 네아폴리탄 메이져 스케일
C를 중심으로 했을 때 C.D♭.E♭.F.G.A.B의 7음으로 구성된 음계로 이중 화성적 음계(double harmony scale)와 합치면 체레핀 음계(Tcherepnin scale)의 제 2선법과 같다.
near coincident 니어 코인서던트
두 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으로 마이크로폰 사이의 각도와 간격을 조정하여 프로그램을 스테레오로 녹음하는 방식.
near field monitoring 니어 필드 모니터링
조정실의 음향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스피커를 엔지니어 가까이 놓는 모니터 스피커 방식. 통상적으로 스피커를 콘솔의 미터브리지 위에 설치한다.
negative feedback amplifier 네거티브 피드백 앰플리화이어
증폭기 출력의 일부를 입력 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을 궤환이라고 하며 입력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궤환하는 것을 부궤환이라고 한다. 이 증폭기의 게인은 저하되지만 게인 안정도의 향상, 주파수특성, 비직선 디스토션 및 위상 디스토션 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negative-going transition 네거티브 고잉 트랜지션
데이터가 높은 레벨에서 낮은 레벨로 전이하는 것.
negro spirituals 니그로 스피리튜얼스
흑인영가. 가사는 주로 구약성서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흑인 노예들이 괴로운 현실에 견디면서 사후의 구원, 천국을 소망하는 내용이다. 마리아 앤더슨이 그 대표적인 가수이다. ☞ gospel song(복음성가)
neo-classicism 네오클래식이즘
신고전주의. 스트라빈스키로 대표되며 19세기 말에서 20세기초에 이르는 신음악(음렬주의나 인상주의등)에 상대적으로 17, 18세기의 음악양식의 사용으로 특정 지을 수 있는 20세기 운동. 스트라빈스키의 《pulcinella》 와 프로코피에프의 《classical symphony》 등이 이에 속한다.
neo-romanticism 네오로맨티시즘
신낭만주의. 후기 낭만파와 20세기의 작품으로 낭만적인 경향을 가진 작품. 신고전파 이후의 경향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보편적으로는 그 시대 음악의 선구를 이룬 작곡가인 엘가, R. 시트라우스, 시벨리우스, 레거 등의 음악을 가리킨다. 같은 의미인 독일어의 Neuromantik는 바그너, 브람스, 볼프, 브루크너 등을 한데 묶어서 가리키는 수가 많다.
neutralization 뉴트럴리제이션
중화(中和). 착오대립(錯誤對立, cross relation-다른 성부에서 반음계적으로 나타나는 음) 관계나 반음계적 변화법을 사용하지 않고 엄격하게 온음계적 진행을 계속해서 조성을 확실하게 나타내는 방법. (예-화성단음계에서 하행시의 7음 제자리표 등) 참고로 임시기호(차용음)의 사용은 증감음정 등 나쁜 음정을 피하기 위해서보다 조성을 구별하기 위해 더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 cross relation
new age 뉴 에이지
명상음악. 서정적인(lyric) 것을 포함하여 분위기(mood)를 위한 음악을 말하는 것으로 본질적으로는 대부분이 악기에 의한 연주곡이지만 드물게는 Enya(엔야-아일랜드의 가수) 등처럼 노래에 의한 것도 있다. 이것은 1970년대 초반의 사색적인 음악으로부터 성장되어 온 것인데, 근래에 들어서는 민족적 색채나 동양적 분위기를 많이 적용하는 추세이며 신시사이저의 발달에 따라 전자음악적 요소를 많이 채용하기도 한다.
new romantics 뉴 로맨틱스
1980년대에 와서 뉴 웨이브 무브먼트(운동)의 물결을 타서 발생한 록(rock) 스타일.
newwave 뉴 웨이브
대중성을 가미한 펑크(funk). 1978년 이후 영국의 펑크 록에서 파생된 미국적 스타일(록 운동, rock movement)로서의 보다 깊이 있고 자유분방한 록음악을 뜻하기도 한다. 기존질서에 대한 저항과 기괴하고도 공격적인 메시지와 함께 파괴적인 소음을 강조하는 오리지널 펑크에 대한 일종의 탈출구로서 일반 대중들에게도 친숙하게 어필 되도록 변형된 펑크를 일컫는다. 그룹 폴리스, 클래쉬, 데보라 해리가 이끄는 블론디 등이 대표적 그룹이다.
nibble 니빌
조금씩. 피치 데이터와 같이 세밀한 정보를 익스클루시브 메시지의 전송 등에서 조금씩 잘라내어 덤프 시킬 때 사용되는 용어.
nocturne 녹턴
야상곡(夜想曲). 몽상적이고 다소 나른한 피아노를 위한 낭만적 성격의 소품. 형식상의 규약은 없고 분산화음으로 된 반주에 어느 정도 우울하고 표정적인 선율을 주로 사용한다. 쇼팽이 그 대표적 작곡가이다.
noise 노이즈
전기 험(hum)이나 테이프의 히스 노이즈(his noise)처럼 음악에 불필요한 잡음.
noise gate 노이즈 게이트
입력 신호가 트레숄드(threshold, 지정 기준 값) 이하가 되면 소리를 통과시키지 않는 신호처리기. 원래는 레코딩과 라이브 스테이지에서 악기와 접속한 이펙터의 최종적인 출력 단에 연결하여 신호가 없을 때(무음 시) 노이즈를 커트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1980년대부터 드럼의 앰비언스와 리버브를 노이즈 게이트를 사용해서 인위적으로 커트하는 게이트 리버브의 케트닉이 개발되었다. ☞ 게이트(gate)
noise generator 노이즈 제네네이터
잡음 발생기. 신시사이저에서 정수 차 배음만으로는 만들 수 없는 특수배음을 합성시키기 위한 발진기. 이것으로 피아노 음색의 어택부분에 나타나는 타격음, 현악기의 마찰음, 관악기에서의 입김효과, 플루트의 텅잉에서 나타나는 음의 특성들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운드를 정수 차 배음만을 갖는 톱니파와 삼각파만으로는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이것으로 만들어지는 화이트 노이즈로서 VCF에 보내져 통상의 음과 함께 음색과 음량을 다듬는 것이다.
noise music 노이즈 뮤직
악기소리 이외의 소리를 소재로 한 음악. 현대에 와서는 전자 악기를 구사한 실험 음악의 일파를 가리킨다.
noise reduction 노이즈 리덕션
테이프의 히스노이즈와 이펙터의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신호처리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기 전에 가공하여 재생 시에 원상태로 되돌려 놓는데 의해서 노이즈 성분만을 저감시키는 엔코드/디코드 타입(돌비 B, C 타입과 dbx)과 단순히 악기 등의 출력 단에 접속하는 노이즈 타입의 것과 대별한다.
noise reduction system 노이즈 리덕션 시스템
녹음테이프의 히스 노이즈(his noise)를 제거하는 신호처리기.
non chord tone 논코드 톤
비화성음, 화성음(chord tone)이외의 음. 어떤 코드 중 멜로디 라인에 화성음에 인접해서 장식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화성음과 동등한 취급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텐션노트에 해당)가 있다. 종류로는 경과음(passing tone; 패싱 톤), 보조음(auxiliary tone; 억실리어리 톤), 선타음 또는 전과음(appoggiatura; 아포지아투라), 도피음(escape tone; 에스케이프 톤), 반도음(cambiata; 캄비아타), 계류음(suspension; 서스펜션), 선행음(anticipation; 앤티시페이션), 이중 보조음, 이중 경과음, 자유음(free tone; 프리 톤), 보속음(pedal tone; 패달 톤) 등이 있다.
non distructive editing 논 디스트럭티브 에디팅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의 녹음방식에서 원래의 음원을 변형시키지 않고 오디오 정보를 자유스럽게 편집할 수 있게 하는 것.
non linear 논 리니얼
비선형 기능. 신시사이저에서 소리신호에 다양한 효과를 덧붙이기 위한 기능들로서 입력신호에 없는 새로운 효과들을 생성하게 해서 그것을 본래의 음색에 덧붙이므로 극적인 소리결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주요 기능들로는 high frequency stimulator(하이 프리컨시 스티뮬레이터), distorsion(디스토션), shaper(쉐이퍼), wrap(랩), LP clip(클리핑이 있는 로우패스 필터), PWM(펄스폭 변조) 등이 있다.
non linear editing 논 리니얼 에디팅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의 녹음방식에서의 편집기능으로서 오디오 소스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기능을 편집하는 기능.
non linear synthesizer 논 리니얼 신시사이저
비선형 합성방식의 음 합성기. 음원파형을 찌그러지게 함에 따라 음색을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그 대표적인 방식으로 야마하의 DX-7 이나 T시리즈 등의 FM(frequency modulation)방식이 있다.
none 넌
신시사이저에서 프로그램(음색)이나 어떤 파라미터 등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
non-inverting amp 논 인버팅 앰프
위상 반전을 하지 않는 연산 증폭기.
non-mechanical 논미캐니컬
비(非)획일적 성부작성(voicing). 획일적인 방법에 의해 화성을 붙이는 것(harmonize)이 아니라 편곡자나 연주자의 음악적 센스에 의해 작성되는 성부를 말하는 것으로, 우선 저음부와 고음부를 구분해서 저음부는 기본적인(배당된) 코드에 의해 보이싱(밀집과 개리)하고, 고음부에서는 주어진 화음 이외의 화성붙이기를 하는 것이다. 과밀배치(cluster) 기법이나 겹침화음(superimposition, upper structure triad)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들 수법들은 고도의 화성감각과 이론적 기반을 전제로 한다.
☞ cluster voicing, superimposition, upper structure triad
NOR gate 노어 게이트
부정회로. OR 게이트 출력에 위상 반전 기능을 첨가한 논리소자.
normal tape 노멀 테이프
노멀 테이프는 기본 자성 재료로 침상산화철(Fe203)을 사용하며 일반 회화녹음이나 어학녹음용으로 사용된다.
normalled 너멀드
패치 반에서 두 접점이 패치를 않더라도, 서로 연결되고 출력 측이나 입력 측에 플러그를 꽂을 때에만 끊어지도록 연결한 것.
notation 노테이션
기보법, 악보. 음악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오늘날에 쓰이는 5선보는 17세기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서 근대 유럽음악의 양식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표현력이 풍부하고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그밖에 널리 쓰이는 기보법으로는 동기보, 네우마보, 태블러추어보, 문자보, 보선보 등이 있다.
notch filter 노치 필터
주파수 대역 제거 필터. 특정의 주파수에서 급격한 감쇠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필터로서 때로는 단일 주파수 제거용으로 쓰인다. 신시사이저에서 음색을 편집할 때 특정한 음역대의 하모닉스들을 삭제할 때 쓰이는 것으로서 삭제시켰을 때에는 ‘x값만큼 커트(cut) 했다.’고 말한다. ☞ 상대어는 peak filter(피크 필터; 증가)
note 노트
MIDI event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음(음표)를 뜻한다. 하나의 음에 대한 발음정보는 음높이(note number), 강도(velocity), 길이(duration)로 이루어진다.
note number 노트 넘버
미디에서 건반의 음높이에 따라 각 키에 할당 된 음의 번호를 말하며 「key#」으로 정의되며, 이 번호에 의하여 음정을 인식하도록 되어있다. 0~127(10옥타브 솔) 까지의 범위가 되며 실용적인 음역은 대체로 24(C1)~96(C7)이내이고 가온 다(중심음)는 key# 60 이다.
note off 노트 오프
음표에 대한 연주가 끝나는 순간, 즉 건반에서 손이 떨어지는 순간을 의미한다. MIDI 규격에서의 스테이터스 바이트는 8Xh이고 이미 이루어진 발음정보(note on)와 반드시 짝으로 존재하게끔 되어있다. 이것도 노트온 정보와 마찬가지로 2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1바이트 째는 노트온에 대응하는 노트번호, 2바이트 째는 노트 오프 벨로시티(note off velocity) 변수이다. 참고로 MIDI 시퀀싱 상에서는 음의 강도(velocity)가 0으로 되는 것은 물론 음의 길이가 없음(0)으로 되어도 발음되지 않는다. ☞ note on
note on 노트 온
음표에 대한 연주가 시작되는 순간, 즉 해당 음표의 건반에 손가락이 처음 눌려지는 순간(발음)을 의미한다. MIDI 규격에서의 스테이터스 바이트는 9Xh(X는 채널)이고 음정을 표시하는 노트번호(0~127의 범위이지만 실제로는 88건반의 범위인 21~108[C1~C7])와 음의 강도를 나타내는 벨로시티(velocity)라는 2바이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note off
NRPN(non registered parameter number) 엔·알·피·엔(논 레지스터드 파라미터 넘버)
각 제조업체가 독자적으로 파라미터 넘버(컨트롤 넘버)에 기능을 할당하여 음색등의 파라미터를 변경 하도록 한 것으로 Roland사의 경우 컨트롤 ID# 99(LSB), 98(MSB)에 할당하고 있다(GS 규격).이 명령은 한번 보내면 기억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변경 할 때마다 다시 지정 할 필요는 없으나 양쪽 모두를 같이 보내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데이터 엔트리 LSB(CC#38)는 피치의 미세조정( fine tunning)에만 사용되며 데이터의 증감폭은 슬레이브(slave; 외부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수신측)악기 측의 파라미터 분해 능력에 따른다.
NSP(negative signal processing) 엔·에스·피(네가티브 시그널 프로세싱)
CPU(중앙처리장치)가 확장카드 없이 자체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것. 팬티엄 등의 CPU 성능이 고급화하는 반면 주변 장치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속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CPU가 쉬고 있는 시간(idle time)이 많아지게 됐고 NSP기법은 이 시간을 이용해 소리와 동영상 등의 신호를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nudge(ing) 넛지(징)
슬쩍 찌른다는 의미이지만 시퀀서에서 특정 이벤트 이동(slide) 거리를 의미한다. 클립이나 미디 노트를 왼쪽이나 오른쪽 또는 위아래로 약간 움직이는 것으로 단축키로 지정돼있다.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용어 [ L-82 ] (0) | 2008.06.10 |
---|---|
음악용어 [ M-63 ] (0) | 2008.06.09 |
음악용어 [ O-67 ] (0) | 2008.06.09 |
음악용어 [ P-124 ] (0) | 2008.06.09 |
음악용어 [ Q-17 ] (0) | 200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