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음악용어 [ L-82 ]

musicanova 2008. 6. 10. 11:16

L.P(longplaying micro groove record) 엘·피(略, 롱플레잉 마이크로 그루브 레코드)
1분 간에 33회전 하는 12인치 레코드로서 대부분의 레코드가 이 방식이다. 참고로 78회전의 레코드는 E.P(extended playing record)라고 하는데 장시간 레코드에 해당한다. ☞ digital single, single, single record

LA metal 엘에이 메탈
70년대에 태동한 「헤비메탈」(heavy metal)은 초기의 혹평에도 불구하고 몇 년 만에 록음악의 주류로 떠올랐다. 이후 황금기를 누리던 헤비메탈은 일부 밴드가 가죽재킷과 굉음 대신 화려한 의상에 소녀 취향의 록발라드를 선보이며 내분에 빠졌다. 격한 사운드로 블루컬러 백인 10대의 저항을 대변하던 ‘메탈 정신’에 대한 반란이었다. 본 조비, 포이즌, 스키도, 데프 레퍼드 같은 이런 밴드들의 음악은 헤비메탈에 비해 대비되어 가벼운 메탈(light metal)이라고 불렀다. 그중 LA지역에서 활동하던 머틀리 크루, 래트 같은 밴드들은 따로 LA메탈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라이트메탈 계열의 음악을 모두 LA 메탈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LA(linear arithmatic) 엘·에이(略, 리니얼 어리스매틱)
선형 방식. 음원방식의 한 유형으로 Roland사의 신시사이저들이 이에 해당한다.

lace 레이스
영사기나 테이프 녹음기에서 필름 또는 테이프를 거는(thread, 쓰레드) 것을 말한다.

lament 러멘트
비가(悲歌), 애가(elegy), 만가(輓歌). 장례식에서 사용되거나 슬픈, 우울한 작품.

lap steel guitar 랩 스틸 기타
책상 위나 무릎 위에 놓고 연주하는 전기기타.

laser 레이저
광선이 파괴되었을 때 발진기가 제동하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수신기(장치)에 연결된 빛의 전파를 뜻한다.

laser disc 레이저 디스크
비디오디스크 시스템의 하나로서, 재생방식으로 레이저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학식 비디오디스크라고도 한다. 디스크에 기록된 음향, 동화상, 정지 화상 등을 어디에 있는지 쉽게 찾아내어 재생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광학식 비디오디스크는 네덜란드의 필립스사와 미국 영화사 MCA가 공동 개발하였고, 일본의 파이오니어사가 이 기술을 도입하여 LCD(laser disc)라는 상품명으로 1981년 10월에 처음 시판하기 시작했다. 그 밖의 방식으로는 미국 RCA 사가 개발한 CED 방식과 일본 빅터사(JVC)가 개발한 VHD 방식 등이 있다.

laser display 레이저 디스플레이
레이저를 광원으로 쓰고 있는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로 컬러 TV의 경우에 파장이 다른 2~3개의 가시 레이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기 광학적으로 변조하고 광학적, 기계적으로 수평, 수직 편향하여 확대 상(像)을 얻는다.

last rhythmic attack 라스트 리드믹 어택
Ⅴ7 -Ⅰ진행에 있어서 Ⅰ의 직전에 있는 Ⅴ7 의 마지막 8분 음표 또는 4분 음표를 말한다. 화성 붙이기(harmonize)에 있어서는 멜로디가 1st(root), 9th인 경우 #5th나 ♭9th를 첨가하여 다음 1st로 접근(approach)시킬 때 그 울림을 풍부하게 해줄 수 있다.

latency 레이턴시
발음 지연. 디지털 장비에서 녹음된 소리가 악기연주와 동시에 나지 않고 조금 늦게 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로 전환되고 처리되면서 계산하는 시간 때문에 발생한다. 레이턴시는 하드디스크 레코딩을 포함한 모든 디지털 장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회사마다 레이턴시 발생을 억제하는 고유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컴퓨터의 버퍼사이즈가 작을수록 레이턴시가 줄어들게 되며 원만한 연주를 위해서는 레이턴시를 최소한 수십 msec(1msec는 1000분의 1초)로 줄여야 한다.

latin music 라틴 뮤직
본래는 남아메리카(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등)의 음악을 총칭했는데 최근에는 쿠바, 자메이카, 멕시코 등의 중남미(캐러비안-카리브 연안)까지 포함한 음악을 지칭하는 것처럼 되었다.

layer 레이어
겹쳐쌓음. 서로 독립된 음원을 겹쳐서 목적하는 음을 생성 시키는 것. 이것은 또한 알고리듬을 통하여 처리되는 키맵을 구성한다.

layering 레이어링
둘 이상의 목소리가 연주될 때 동시에 소리가 날 수 있도록 화합시키는 것.

LCD(liquid-crystal display) 엘·시·디(略 리큐드 크리스탈 디스플레이)
액정표시. 두 개의 얇은 유리판 사이의 틈에 액체 결정을 담고 투명한 전극을 통해 전압을 가하면 결정의 분자배열이 달라져 빛의 통과율이 달라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대개 액정은 자체만으로는 빛을 내지 않으며 단지 뒷쪽의 반사판에 의해 빛을 반사할 때 전압이 가해진 부분은 액정이 불투명하게 되어 반사되지 않으므로 그것으로 명암을 구별한다. 따라서 보는 방향에 따라 화면이 선명하게 않게 된다. 노트북 컴퓨터나 각종 기계의 제어판 등에 사용된다.

lead guitar 리드 기타
기타 연주자가 두 사람 이상인 경우 멜로디와 주된 코드 부분을 맡아 연주하는 연주자(player)를 말한다.

lead in 리드 인
멜로디를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해 프레이즈 직전에 첨가시키는 작은 필 인(fill in) 성격의 경과구.멜로디를 도입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 대부분은 음계적으로 되어있다. ☞ dead spot(데드 스팟; 휴부)

lead player 리드 플레이어
같은 악기를 담당하는 사람이 여럿이 될 때 그 파트의 메인이 되는 부분, 솔로, 멜로디 등을 담당하는 연주자.

lead sheet 리드 시트
① 멜로디 라인과 가사, 코드심벌(chord symbol)을 기록한 함축악보로서 본래는 저작권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졌다. 최근에는 중요한 대선율이나 베이스 라인, 리듬 패턴까지를 메모(스케치)하여 편곡의 기본악보(condensed score)로서나 스튜디오에서의 작업 자료로써 응용되고 있다.
② 음향기사(레코딩이나 라이브 공연)를 위해 스코어의 요점을 정리하여 메모한 것. 사용되는 악기의 구분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곡의 구성이나 진행, 그리고 표정 등을 개괄적으로 이해시킬 목적으로 적어둔 것을 말한다.

lead vocal 리드 보컬
보컬이 여럿이 있는 그룹의 경우 주선율(멜로디)을 부르는 가수. 메인의 보컬.

leader tape 리더 테이프
자기테이프의 시작과 끝 부분에 붙이는 자성체가 없는 테이프를 말한다. 곡과 곡사이를 편집할 경우에도 사용한다. 테이프의 보호와 색에 의해서 테이프의 시작과 끝을 구별하기도 하며 도중에 삽입해서 일정의 무음 부분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leading tone 리딩 톤
이끔음. 장, 단음계의 제7음을 말하며 주음(tonic)으로의 강력한 귀결성이 있다.

leakage 리키즈
누손(漏損). 악기 소리가 다른 악기의 마이크로폰으로 간섭되는 현상.

LED display(light-emitting diode display) 엘·이·디 디스플레이(略)
갈륨비소(GaAs)로 만들어진 다이오드(2극 진공관-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정류특성을 가진 반도체 부품으로서 게르마늄이나 실리콘으로 만든다)로서 불순물을 포함한 갈륨비소 형식의 소자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데 불순물에 따라 색깔이 다르게 나타난다. 문자나 숫자표시기에 널리 사용되며 광섬유 통신을 위한 광원으로도 유용하게 쓰인다.

LED indicator 엘·이·디 인디케이터
악기의 피크레벨을 모니터(구분)하기 위한 레벨 계기.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만들어진다.

lede 레데
live end/dead end 의 약칭. 조정실의 앞면, 즉 확성기(loud-speaker)부근은 흡음 재질을 사용해 반사음을 줄이고 뒷면은 반사 재질로 소리를 확산시키는 조정실의 음향 처리방식.

ledger lines 레저 라인
덧줄. 보표 밖으로 나가는 음을 표시하기 위해 보표의 위나 아래로 그어주는 짧은 선으로서 위 첫째간, 위 첫째 줄, 아래 첫째간, 아래 첫째 줄 등으로 부른다.

legato 레가토(伊)
음과 음 사이를 부드럽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음표의 머리 위에 「 - 」으로 표기하거나 음정이 다른 둘 이상의 음표 위나 아래에 곡선으로서 표시하는 이음줄(slur)로서 기보한다.

legno 레뇨(伊)
「나무」라는 뜻으로 현악기의 활의 나무 부분을 말한다. col lengo(콜 레뇨)는 바이올린 주법에 있어서 나무 부분의 활대로 현을 두드리는 것을 말한다.

Leitmotiv/leading motive 라이트모티프(獨)/리딩 모티브
지도동기(指導動機), 또는 유도동기(誘導動機기). 주도하는 주제, 또는 주 리듬. 오페라나 영상에서 특별한 인물이나 이벤트를 위한 테마. ‘바그너’의 후기 오페라에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작곡기법이며, 음악 상의 동기에 의해 어떤 인물, 장면, 상념(想念)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라이트모티프는 그대로 멜로디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그 장면의 성격에 따라서 리듬, 음정 같은 것이 자유로 변형된다. 오늘날 영화음악에 있어서 특정인물(주인공)을 주제로 한 것(‘....의 테마’ 등으로)도 라이트모티프라고 할 수 있으며, 리딩 모티브(leading motive)라고도 한다.

leslie speaker 레슬리 스피커
해먼드 오르간(Hamond Organ)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 Don Leslie가 개발한 순환(회전)하는 스피커.고전적(classical) 비브라토 효과로서 캐비닛에 내장된 스피커가 다양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입체적 효과를 나타낸다.

level 레벨
오디오 신호의 강도. 예를 들면, 전압, 전력, 또는 소리압력 등이다.

level meter 레벨 미터
저주파 전송 선로의 신호레벨 등을 측정하는 계기로서 표준 가변 저항기, 증폭기, 지시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계는 0.775V 또는 0.274V를 0dB한 데시벨 눈금이다.

level setting 레벨 세팅
녹음테이프의 일그러짐을 막기 위해 녹음 헤드의 입력 레벨을 조정하는 과정. VU미터 또는 피크미터로 조사한다.

LFO(low frequency oscillator) 엘·에프·오(略 로우 프리컨시 오실레이터)

저주파 발진기. 0~20Hz정도(0.01Hz에서 최대 210Hz)의 낮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기로서 변조신호의 근원에 사용한다.

악기에서는 50Hz까지를 저주파수라고 하고 정기적인 반복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며 LFO의 비율(rate)을 조정하면 효과의 반복율이 바뀐다. LFO를 음원의 피치에 걸면 비브라토 효과, 필터(filter; 음의 가공부분)에 걸면 와우와우(WahWah)효과, 음량에 걸면 트레몰로(tremolo) 효과에 변화를 준다. LFO의 파형으로는 사인파(sine wave), 삼각파(trangle wave), 톱니파(sawtooth wave), 사각파(square wave), 랜덤파(random wave)가 있다.

light music 라이트 뮤직
경음악. 대중음악(popular music-가볍게 듣고 즐길 수 있는 음악)의 별칭. 본래 클래식 악곡중의 소품이나 가벼운 통속성을 지닌 것의 호칭이지만 포괄적으로는 클래식에 대비되는 재즈, 록, 팝스 등을 말한다.

limiter 리미터
신호의 최대 레벨을 설정한 레벨까지 억제하는 신호처리(signal processor)장치, 또는 진폭회로의 일종. 트레숄드(threshold, 지정 기준값)보다 큰 신호들은 모두 트레숄드 정도로 감소한다. 컴프레서의 압축 비율이 10 :1 또는 그 이상이고 트레숄드(threshold, 지정 기준값)를 매우 낮게 설정하면 소리의 피크를 줄일 수 있다. 이것은 녹음 시에 규정 이상의 신호가 테이프 레코더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PA(SR)에서는 대(大)신호에 의해서 스피커가 파손되는 것을 막는다.

line filter 라인 필터
전선에 함유된 여러 가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 기본적으로는 코일과 콘덴서로 된 로 패스 필터이다.

line level 라인 레벨
오디오 신호의 레벨. 밸런스타입의 라인 레벨은 약 1.23볼트(+4dBm)이고, 언밸런스타입은 약 0.316볼트(-10dBV)이다. (0dBm은 600Ω 회로의 1mW)

line of force 라인 오브 포스
역동선(力動線), 음의 유기적인 움직임.음악의 분석에 있어서 학구적인 틀(악보)이 아닌 작품이 주는 실질적인 감성의 접근(감상)을 통하여 이해해야 한다는 의미.

line out 라인 아웃

기저(baseband-변조 이전) 신호의 출력을 말하는 것으로 콘솔의 경우에 출력 게인(gain-출력에 대한 입력 비)과 임피던스(impedance-저항)4~8dB, 600으로 나타난다. direct out

line writing 라인 라이팅
성부쓰기⇒자유로운 성부쓰기. 통상적인 보이싱(constant voicing, 칸스턴트 보이싱)에 반하여 특정한 요구에(주로 미세한 프레이즈를 처리할 때-be-bop Jazz 등에 많이 있음) 따라 작편곡자가 자유로운 발상으로 성부를 만드는 것.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각 파트를 보다 선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연주자는 보다 쉬운 선율선(melody line)을 가질 수 있다. ☞ 상대어는 constant voicing(통상적 성부구성)

linear 리니얼
직선상, 독립변수에 대한 1차적 표현. 어느 하나의 총량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다른 것을 등가(等價)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두 정량기호 사이의 관계. 전자회로에서는 입출력의 관계가 비례관계가 되는 것을 말한다. 오디오 앰프는 이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앰프의 직진성(리니어리티)이라고 부른다. 이 직진성이 무너지면 일그러짐(디스토션)이 커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아날로그 회로를 IC로 한 것을 ‘리니얼 IC’ 라고 한다. 리니얼 포트(linear port)는 그 작동 범위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실제 작동에 있어서도 똑같은 양의 변화를 발생 시킨다. 상대어는 지수적(exponential, 익스포넨샬)이다.

lip-sync 립 싱크
① 영상에서 화면의 입 모양과 녹음된 음성을 일치시키는 것을 말하며 립 싱크로나이제이션(lip synchronization) 의 준말이다.
② 사전에 녹음한 노래를 틀어놓고 가수는 입만 벙긋거리는 것으로서 현실감이 없기 때문에 비판적이기도 하지만 방송매체에서 특히 댄스뮤직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 A&R

listening point 리스닝 포인트
스피커에 대한 리스너(듣는 사람)의 위치. 스테레오의 경우는 좌우 스피커를 잇는 선을 저변으로 한 2등면 삼각형의 정점이 가장 좋은 리스닝 포인트이다.

listesso tempo 리스텟소 템포(伊)
같은 음가(音價). 「같다」라는 뜻의 이스텟소(istesso)에서 유래한 것으로 박자가 바뀌어도 박의 실제 길이 값은 바뀌지 않는 것을 말하며 medesimo tempo 와 같은 뜻이다. 이를테면 2/4박자에서 6/8박자로 바뀔 경우 4분음표가 점4분음표로, 또한 빠른 속도(행진곡 등)에서 2분음표가 한 박으로 해석되는 것 등을 말한다. ☞ isorhythm

live 라이브
① 실황 공연.
② 음향용어에 있어서는 잔향이 많은 곳을 말한다. 반대로 잔향이 적은 곳을 데드(dead) 라고 한다.
☞ 라이브니스(liveness).

live recording 라이브 레코딩
콘서트홀에서의 실황 공연이나 오버더빙이 없는 녹음을 말한다. 홀에서 직접 2채널 스테레오로 녹음하는 방법과 악기마다 마이크로폰을 세트하여 멀티테이프 레코더에 각각 별도로 녹음하여 나중에 스튜디오에서 믹스다운 하는 방법이 있다.

liverpool sound 리버풀 사운드
1960년대 초기에 미국의 록에 영향을 받고 등장한 영국의 록 스타일로 비틀즈의 음악이 전형이 된다.

load 로드
적재, 불러냄. 기억매체에서 데이터를 읽어내어 편집상의 영역(주 기억장치 주변)으로 불러내는 일. ☞ 상대어는 저장(save)
② 전기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 또는 변환하는 모든 장치에 대해 그것에서 나오는 출력을 소비하는 것을 그 장치의 부하라고 한다.

lobe 로브
최대 지향을 가리키는 마이크의 극좌표 특성.

localization 로컬리제이션
소리의 전달 방향.

location 로케이션
MID 시퀀서에서 음이 위치하는 곳을 말하며 스탭 타임(step time)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시퀀싱 소프트웨어들은 MBT방식에 의해 시간 관리가 되고 있다. MBT방식이라 함은 마디(measure), 박(beat), 점(tick)을 말한다. ☞ 상대어는 duration

loco 로코(伊)
원위치. 기보 상에서 8vb, 또는 15ma의 지시어로 옥타브나 2옥타브 위나 아래로 전위시킨 것을 다시 원위치시키라는 지시어.

log 로그
컴퓨터에서 동작과 상태의 변화 및 조작의 진행과정에 대한 기록을 의미하며 이들 기억데이터에는 하드웨어 운전기록 데이터나 데이터의 상황 처리과정에 대한 기록데이터 등이 있다.

logarithm 로가리듬
로그, 대수(對數). 어떤 수를 10 의 역수로 구하는 수학.

logic 로직논리. 또한 논리적으로 움직이도록 설계된 회로(디지털 회로).

long path echo 롱 패스 에코
긴 거리를 전달해서 도달하는 반사음. 홀과 경기장 등의 넓은 장소에서 발생하기 쉽다. 지연 시간이 길어서 직접음과는 확실히 별도로 들리므로 스피치와 연주를 방해한다.

long take 롱 테이크
영화에 있어서 쇼트를 길게 해 촬영하는 것. 촬영한 내용을 다양한 편집의 기교로 이어 붙이지 않고 하나의 카메라로 한 장면을 커트 없이 긴 시간동안 담아내는 것이다. 예술영화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하지만 오히려 영화가 가진 편집의 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해 반대하는 견해도 있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로프》는 롱 테이크를 위한 실험적 작품으로서 단 한번의 커트도 없는 전무후무한 작품이며 그 외에 《안개속의 풍경》, 《붉은 시편》 등이 있다.

loop 루프

반복과 활용을 위한 샘플의 원 소스.

① 샘플링 편집에서 건반을 계속 누르고 있는 사이에 데이터를 반복하여 읽는 것을 몇 회 계속하여 쓰는 것. 이러한 작업을 어펜드(Append; 덧붙임)라고 하기도 한다.
② 시퀀싱(sequencing)에 있어서는 일정한 부분(대부분 같은 패턴)을 필요한 만큼 반복시켜 메모리를 절약하는 기능을 말한다.
③ 
반복을 위한 짧은 오디오클립-템포와 피치에 대응한다.

loop construction 루프 컨스트럭션
루프 구성. =루프편집(loop arrangement)

loop time 루프 타임
에코 머신과 샘플링 머신에서 루프를 행하는 부분의 시간. 루프가 일순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 에코 머신은 리피트 타임으로 조정하며 샘플링 머신은 관계 파라미터의 설정으로 조정한다.

loss 로스
신호 경로 상에서, 혹은 신호의 처리 중에 발생하는 신호에너지에 대한 손실을 말하고, 보통 규정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dB(decibel)로 표현한다. 즉, 에너지가 목적 이외의 곳에서 소비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loudness 라우드니스
음 에너지의 강약에 일차적으로 대응하는 청각심리상의 인상, 또는 그 척도. 즉 감각적인 소리크기를 말한다. 사람이 귀로 들어서 느끼는 음의 세기로서 물리적인 음의 세기인 음량(dynamic level)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주파수나 파형의 시간적인 패턴 등도 loudness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단위는 sone(손-감각상의 소리단위)이고, 음압 레벨이 40dB인 1KHz의 loudness 가 1sone으로 정의된다. ☞ loudness level

loudness control 라우드니스 컨트롤
사람의 청각은 주파수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며 소리의 세기의 따라 변화한다. 증폭기(앰프)에서 보통의 볼륨 컨트롤의 방식을 이용한 경우 음량을 줄이면 낮은 주파수 성분과 높은 주파수 성분이 잘 들리지 않고 중역의 주파수 성분이 잘 들린다. 그래서 회로로서 보정하는 것을 라우드니스 컨트롤이라고 한다.

loudness level 라우드니스 레벨
음의 크기에 관련된 심리적인 물리량으로 어떤 음의 세기, 레벨은 그 음과 같은 크기로 들리는1KHz 순음의 음압레벨을 수치로 표현하며, 단위는 phon(폰-음 강도단위)이다. 예를 들어 음압 레벨 80dB의 1KHz 순음과 같은 크기의 음을 80phon으로 표현한다. 음에 대한 크기 레벨의 수치는 감각적인 음의 크기와 대응하지만 비례관계는 아니다. ☞ loudness

loudness of sound 라우드니스 오브 사운드
소리를 귀로 들어서 느끼는 감각 량을 말한다. 즉 강하게 들리거나 약하게 들리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정량적으로 표시하려면 1000Hz의 소리와 비교해 보아 같은 크기로 들리는 것을 동일 레벨로 한다. 그때의 1000Hz의 음압레벨 값을 그대로 폰이라는 단위로 바꿔 놓는다. ☞ loudness level

loudspeaker 라우드스피커
확성기, 증폭기. 전기 에너지를 음향 애너지로 바꾸는 일종의 변환기. 진동용의 콘지와 혼을 진동시켜 귀로 들을 수 없는 전기신호를 공기진동에 의해들을 수 있도록 한 변환기이다. 그 진동판의 타입에 의해서 콘 스피커, 혼 스피커 등의 종류가 있다.

low frequency 로우 프리컨시
보통 20~20,000Hz의 가청주파수를 가리키며 고주파에 대해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말한다. 오디오 주파수라고도 한다.

low impedance 로우 임피던스
임피던스(전류에 대해서 저항이 되는 요소)가 낮은 것. 마이크로폰 등에서는 600Ω 이하의 출력 임피던스의 것을 하이 임피던스(보통 10KΩ 이상)리고 구별할 때 부른다.

low interval limit[L.I.L] 로우 인터발 리미트 [略]
저 음역 음정 사용한계. 관현악법(orchestration)이나 성부쓰기(voicing) 때에 이 한계점 이하로 내려가는 음정관계에서는 지저분한 울림(muddy sound)이 발생하므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한다. 낮은음자리표의 위 둘째 칸(MIDI key# 52[E4])이하부터가 그 기준인데 이러한 울림을 피하기위해서는 베이스 성부를 기준으로 두고 먼저 멜로디 음의 가장 낮은 부분을 보이싱 하되 「L.l.M」에 저촉되는 곳이 많으면 조(key) 자체를 변경시키는 것이 좋고, 항시 가장 아래의 성부와 가상적 저음파트와의 음정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줄여서 「 L.l.M 」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low noise tape 로우 노이즈 테이프
히스(hiss)노이즈가 낮은 녹음테이프 히스노이즈는 규격이 있으며 이 규격보다 노이즈가 낮도록 만든 테이프를 가리킨다.

low noise tape 로우 노이즈 테이프
히스(hiss)노이즈가 낮은 녹음테이프. 히스 노이즈는 규격이 있으며 이 규격보다 노이즈가 낮도록 만든 테이프를 가리킨다.

LP Clip(lowpass filter with clipping) 로우패스 필터 위드 클리핑(略)
클리핑이 있는 로우 패스 필터. 신시사이저에서의 비선형(non-linear)기능의 하나로서 1폴 로우 패스 필터와 비슷하지만 입력신호의 진폭이 필터의 바로 전에 4만큼 곱해진다. 의도적으로 클리핑 효과를 원할 때에만 이 기능을 사용한다. 클리핑이란 찌그러뜨려 다양하고도 흥미로운 디스토션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clipping

LPF(low pass filter) 엘·피·에프(略, 로우 패스 필터)
신시사이저의 VCF(톤 컨트롤)에서 높은 주파수의 성분을 커트하고 낮은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배음구성을 바꿈으로서 음색을 부드럽게 하는 필터. 보통 주파수(3kHz-20kHz) 밴드에서 하이 컷(high cut filter)한다. 이 필터는 하이 패스 필터와 반대의 기능을 갖고 있어 설정한 주파수 이하만 필터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그 이상의 하이 주파수대역을 제거시킬 수 있다. 드럼의 심벌 등의 날카로운 고음이나 잡음이 많은 테이프의 하이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다. 하이 커트 필터(high cut filter)라고도 하며, 커트하는 포인트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컷오프 프리컨시(cutoff frequency)라고 한다. ☞ cutoff frequency, filter, resonance

LSB(least significant byte) 엘·에스·비(略, 모스트 시그니피컨트 바이트)
최하위 바이트. 비트패턴 이진수 숫자(비트 열)에서 비중이 가장 낮은 자리(미디에서는 하위7비트)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분해도의 값을 뜻한다. ☞ MSB

LSF(low shelf filter) 로우 셀프 필터(略)
신시사이저의 음색 편집에 있어서 특정한 부분 이하 음역대의 하모닉스를 모두 통과시켜 강조(boost)하는 필터. 상대어는 하이 셀프 필터(hi shelf filter) ☞ filter, low pass filter, para bass(저음 톤조절)

LSI(large scale intergratation) 엘·에스·아이(라지 스케일 인터그래테이션)
고집적화. 대규모의 회로기능을 하나의 소자로 집적한 것.

LTC(longi tudinal time code) 엘·티·씨(略, 란져 튜디널 타임코드)
동기화(SMPTE)에서의 세로 타임코드. 1초당 2400 비트의 속도로 변조된 사각과 신호로서 ATR(audio tape recorder)과 VTR(video tape recorder)의 아날로그 오디오 트랙이나 큐 트랙에 입혀진다. 테이프의 진행속도가 아주 느리거나 빠를때, 또는 정지상태에서는 읽을 수 없으나 VlTC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음악 프로덕션에서 사용되고 있다. 마스터로서 VTR을 사용하려면 LTC 신호를 오디오트랙 중 하나에 녹음 해 두어야 한다. ☞ VlTC

luthier 루시어
현악기 제작자

lyricysm 리리시즘
서정적인. 예를 들어 재즈연주의 애드립 등이 차분하고 아름다울 경우에 그것을 리리컬(lyrical)한 연주라고 표현한다.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용어 [ J-13 ]  (0) 2008.06.10
음악용어 [ K-21 ]  (0) 2008.06.10
음악용어 [ M-63 ]  (0) 2008.06.09
음악용어 [ N-49 ]  (0) 2008.06.09
음악용어 [ O-67 ]  (0) 2008.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