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편곡 이론

[화성학] 대리화음의 화음음계(Chord Scale of Substitute Chords)

musicanova 2010. 12. 22. 17:51

 

 

  • 표 내의 화음들은 다장조(C Major) 기준이다.
  • T(tonic) / SD(sub dominant) / SDm(sub dominant minor) / D(dominant)
  • 음계와 긴장음 항목의 (   )는 동일화음에서의 다른 음계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 회피음 항목에서의 [   ] 안의 음은 주의음(care note) -회피음(avoid note)은 아니지만 주의해서 사용할 음-을 말한다.
  • 붉은 글자로 쓰여진 화음들은 빈번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대리화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