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편곡 이론

[화성학] 부속화음 음계(Scale of Secondary Dominant Chords)

musicanova 2010. 12. 21. 12:07

 

부속화음(下屬和音, secondary dominant chords)의 화음음계(chord scale)는 다음의 여섯 가지의 종류가 사용되며 기본적인 화음음계에서의 속화음과 마찬가지로 텐션노트의 종류와 목적화음(goal chords)의 성격(장, 단화음)에 따라 형성된다. 그러나 과도한 텐션노트의 적용은 자칫 전체 조성을 흐트러뜨릴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적용해야 한다.

아래의 도표는 다장조(key of C)의 예이며 각 단의 첫 코드가 기본음계이다.

 

 

1. Hmp5↓(harmonic minor perfect 5th below; 하모닉 마이너 퍼펙트 핍스 빌로우)란 5도 아래의 화성 단음계의 제5음을 음계의 중심으로 삼아 배열된 음계를 말한다. 다음은 A. Hmp5↓ 음계와 5도 아래의 화성 단음계를 나타낸 예보이다.

  

 

※ 위 악보에서처럼 Hmp5↓ 음계는 5도 아래의 화성 단음계로부터 조직된 것임을 알 수가 있는데 5도 아래의 화성단음계는 Ⅴ7ofⅡ의 해결화음, 즉 Ⅱm(Dm -C조 상에서의 Dm 화음음계에서는 제6음이 회피음이다)이다.

 

※ 긴장음(tension note) 가운데의 9th는 두 번째 음(단2도)과 세번째 음(장3도)의 증2도 -증음정은 선율적으로 불안정하므로 피해져야 한다- 가 발생하므로 선율라인을 매끄럽게 유도하기 위하여 근음으로부터 단3도에 해당하는 올터드 텐션노트(altered tension note -변화된 긴장음)- #9th(근음으로부터 단3도)를 보강한 것이다. 따라서 모든 구성음은 8음 체계가 되지만 실제적으로는 11th(다음 해결화음의 근음)은 회피음(avoid note)이다. 11th음이 사용되면 sus4 화음으로 되어 코드의 성격이 달라진다.

 

 

2. Mmp5↓(melodic minor perfect 5th below)란 5도 아래의 선율단음계의 제5음을 음계의 중심으로 삼아 배열된 음계를 말한다.다음은 A. Mmp5↓ 음계와 5도 아래의 선율단음계를 나타낸 예보이다.

 

 

※ Ⅴ7ofⅡ(C조의 경우 A7)의 화음음계는 Hmp5↓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C조의 조성감을 유지시키기 위해 이 Mmp5↓ 음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두 음계의 차이는 음계의 제2음의 구별에 의한다. -♭9th과 9th의 차이- 텐션노트는 9th, 13th이며, 역시 코드의 성격을 달라지게 하는 11th는 회피음이다.

 

 

3. altered dominant 7th scale(올터드 도미넌트 세븐스 스케일; 변화된 속화음 음계)속7화음(dominant 7th chord)에서 사용되는 변화된 긴장음(altered tension)들을 결합한 음계를 말하며 ♭9th, #9th, 13th 외에 #11th가 배치되고 화성음(chord tone) 가운데 제5음(근음으로부터 완전5도 음)을 뺀다. 「올터드 스케일」이라고 줄여서 부르며,「슈퍼 로크리언 」(super Locrian)이라고도 한다.

 

 

4. 모든 부속화음에 적용되는 컴디미 스케일(combination of diminished scale)은 디미니쉬드 스케일에서 응용되어온 것으로서 반음-온음 관계의 연속이다. 다른 속화음 음계와 구별되는 음은 13th이며, 감5도 위의 음을 근음으로 한 컴디미 스케일은 같은 구성음이기 때문에 부속화음의 대리화음에 대한 음계로서도 좋다.

 

 

 

5. 믹소 리디언(Mixo-Lydian)음계는 V7ofⅣ(C조에서 C7 코드이며 ⅣM7이 목적화음)의 화음음계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음계이다.

 

 

6. 리디언 도미넌트 세븐스(Lydian dominant 7th)음계는 V7ofⅤ(C조에서 D7 코드)의 화음음계로 쓰이며 믹소 리디언 스케일(Mixo Lydian scale -11th가 회피음)이 사용되기도 한다.

 

 

 

⊙ V7ofⅦ(F#7) 화음은 반음계적 화음이자 목적화음이 장, 단화음이 아닌 불안정한 감화음이기때문에 부속화음으로서의 자격은 가질 수 없다. 그러나 Ⅶ화음이 Ⅱ→Ⅴ진행(two-five motion) 등에 의해 목적화음으로서의 자격을 갖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화음음계는 Hmp5↓와 올터드 스케일(altered scale), 컴디미 스케일(combination of diminished scal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