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편곡 이론

[기본이론] 음정

musicanova 2008. 6. 18. 13:58

 

음 정(Interval)

 

음정(音程, interval)이란 불변의 높이를 가진 두 음 사이의 높이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음정의 크기는 「도」(度; degree)라는 단위로 나타내며 음정을 셀 때는 아래로부터 위로 세고 밑 음의 아래쪽으로 세려면 「?도 아래」 라고 해야 한다.

 

 

음정의 종류

 

⊙  형태적 종류

 

1. 선율적 음정(melodic interval) : 시간적으로 차례로 움직이는 수평적 음정.
2. 화성적 음정(harmonic interval) : 두 음이 합쳐져서 동시에 울리는 수직적 음정. 
3. 복합적 음정 : 대위적이나 점묘적 기법 등에서 쓰이는 선율과 화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음정.

 

⊙ 크기별 종류

 

1. 완전음정 (完全音程; perfect interval) : 어울림 음정이지만 공허하다.
2. 장음정 (長音程; major interval) : 남성적 어울림 음정
3. 단음정 (短音程; minor interval) : 여성적 어울림 음정
4. 증음정 (增音程; augmented interval) : 중성적 음정
5. 감음정 (減音程; diminished interval)  : 안어울림 음정

 

다음은 온음계상의 음정에 대한 온음과 반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감 5도는 증4도와 같은 울림이지만 그 음정들의 진행방향은 정반대이며 온음 2, 반음 2로 구성된다.

이렇게 옥타브 이내의 음정을 말할 때는 홑음정이라고 하고 옥타브 이상의 음정을 겹음정이라고 하는데 겹음정은 홑음정과 성질은 같지만 음정특질은 바뀐다. 즉, 옥타브 이상으로의 전위(inversion -음정의 어떤 한 음을 자리바꿈하는 것)는 특질이 약화되며 옥타브 이내로 전위하여 축소시킬 경우는 예리해진다. 한편 겹음정은 옥타브 이내로 자리바꿈하여 계산하며 명칭은 음정이름 앞에 ‘겹’자를 붙인다. 화성의 일부분으로서는 긴장음(tension note)으로서 「9th’」, 「11th」 등으로 호칭하기도 한다.

 

⊙  표정별 종류

 


음정은 배음구조의 근음강세 -강한 근음진행(root motion)이 먼저 나타나는 것- 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 [배음 참조]

1. 모든 완전음정은 맑은 울림을 갖지만 공허한 울림이다. 완전음정의 어느 한음이 변화하면 증, 감음정이 된다.
2. 3도와 6도 음정은 협화적이고 풍부한 울림을 가지며 이 가운데에서도 장음정은 남성적인데 반해 단음정은 여성적인 울림이다.
3. 장 2도, 단 7도는 부드러운 불협화 음정이다.
4. 단 2도, 장 7도는 예리한 불협화 음정이다.
5. 증, 감음정은 일반적으로 둔탁하고 흐린 느낌을 주지만 증4도(감 5도) 음정은 현대적 무조음악에서는 협화로 취급되기도 한다. 
6. 겹증(重增)과 겹감(重減)은 실용음악(조성음악)에서는 거의 볼 수 없고 무조음악(현대음악)에서는 출현 가능성이 많다.

 

다음의 악보는 협화에서 불협화로(consonance to dissonance)의 음정의 긴장도를 나타낸 것이다.


 

⊙  음정의 변화 - 반음계적 확대와 축소

 

 ※ 완전음정의 변화에 있어서 완전 1도는 변화될 수 없으며 완전 8도는 확대되면 겹단2도, 축소되면 장7도 음정이 된다. 한편 겹감과 겹증은 실용음악에서는 딴이름 한소리(異名同音; 이명동음)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음정의 자리바꿈(轉位, Inversion of Interval)

양 음정간의 어떤 한 음을 옥타브로 내리거나 올리는 것을 말한다. 자리바꿈 음정의 산출공식과 자리바꿈 후의 속성변화는 다음과 같다.

 

자리바꿈음정 산출공식 : 9 - 본래음정 = 자리바꿈 음정

 


자리바꿈 음정의 속성변화: 완전음정 ⇔ 완전음정 / 장음정 ⇔ 단음정 / 증음정 ⇔ 감음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