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편곡 이론

[기본이론] 음이름, 창법, 보표

musicanova 2008. 6. 16. 17:59

 

음이름(Pitch Names)


음이름(pitch names)이란 어떤 음조직을 성립시키는 음의 하나하나를 각각의 음높이에 의하여 구별하여 결정한 음의 고유한 이름을 말한다.

  

※ 가온 「다」(C4)의 미디건반의 위치는 음원이나 시퀀싱 소프트웨어에 따라 「C5」로 지정된 것도 있다.

 

주요국가의 음이름


 

※ 한편 상대어인 계이름(syllable nemes)은 음계의 각 도(度)의 호칭을 말하는 것으로 1035년경 「귀도 다레쪼」에 의해 고안된 것 -선율 속에 나타나는 각 음을 바로 그 음에 해당되는 가사의 음절을 따라서 부르게 하였다- 이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계이름을 음이름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다.(고정 도창법-아래 침조)

 

 

창법(Solmization)

 

1.  음명 창법(고정 도; fixed do, 음이름 부르기) : 조가 바뀌더라도 음이름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서 무조성 음악에 유리하다. 조성을 정할 때나 각 조를 부를 때 사용한다.

2. 계명 창법(이동 도; movable do = Solfege, 계이름 부르기) : 조성에 따라 음의 이름도 따라 바뀌는 것으로 조성의 확보가 용이하다. - 대부분이 조성음악인 실용음악에서는 조성확보를 위해 계명창법으로 읽는 것이 아주 유리하다.

 

 

 원칙적으로 상행 시에는 「i」의 발음으로, 하행 시에는 「e」의 발음이 되며 이렇게 멜로디를 계명 창법으로 부르는 것을 「솔미제이션」(solmization)이라고 한다.

 

 

보표(Staff)


보표란 한 묶음의 똑같은 간격의 수평적 5선 -일반적으로 5선이 쓰여지지만 타악기의 경우 단선 보표(one line staff)나 현악기의 태블러추어(tablatura), 현대음악적 관점에서는 그래프에 의한 것 등 특수한 보표도 쓰이고 있다- 을 지칭하는 것이지만 단일보표일 경우 음자리표와 같이 묶어 「높은음자리 보표」, 「낮은음자리 보표」등으로 불리운다. 보표는 약 서기 1000년경의 「귀도 다레쪼」의 3∼4선보를 기원으로 하며 1200년경부터 5선보가 쓰여지기 시작했다.

⊙ 보표위치의 명칭 -5선을 벗어난 음표는 다음처럼 보표 위나 아래에 덧줄을 추가하여 기보한다.

 

※ 보표에 음표를 적을 때에는 줄과 칸에 걸치는 식으로 불명확하게 기보되어서는 안되며 줄과 칸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기보해야 한다.

 

 

단일 보표들(single staffs)

 

 

⑴의 높은음자리 보표는 플룻, 바이올린, 트럼펫 등의 높은 음역대의 독주악기나 소프라노 등의 인성에 쓰여지며
⑵의 낮은음자리 보표는 성악에서의 남성 파트나 베이스, 트롬본, 바순 등의 낮은 음역대의 악기들의 기보 용도로 쓰여지며
⑶의 테너 보표는 성악의 테너 성부나 비올라 등의 중음역대 악기를 위해 쓰여지나 실용음악에서는 사용빈도가 많지 않다.

 

 

큰 보표들(great staffs) -모음악보(score)라고도 한다. 

다음 악보들의 예처럼 하나 이상의 복수선보를 세로선으로 묶고 -세로선은 동시연주를 뜻한다. - 그룹표시 묶음표시(bracket)를 해주는 것을 큰 보표라고 한다. 브래킷은 ⑷나 ⑸처럼 여러형태의 괄호(braces)형이 있으며 피아노나 하프 등의 음역대가 넓은 악기나 혼성 합창곡 등에서 사용된다. 피아노 스코어(piano score)라고도 하며 각 그룹의 파트보(譜)로서도 사용된다.
⑹과 같은 3단 보표는 맨 위에는 솔로악기나 노래의 멜로디를 아래 두 단은 피아노나 오르간 등의 키보드 악기를 사용하거나 집결총보(集結總譜, condensed score) -압축총보라고도 하는 것으로 보이싱의 상태를 in C(실음; concert key)로 볼 수 있으며 전체 파트를 한눈에 파악할 수가 있다.- 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펼침총보(full score)는 각 악기나 각 성부마다 독립된 보표를 묶어서 펼쳐 놓은 것으로 ⑹의 형태가 확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케스트라의 총보는 위로부터 목관악기·금관악기·타악기· (독주악기)·현악기 순으로 적으며 각 악기군(part)은 고음악기부터 저음악기의 순서로 내려 적는다. -브라스 밴드는 위로부터 목관악기·타악기·금관악기의 순으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