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화음(增和音, augmented chords)은 화음의 5음(완전5도)이 반음 상행하여 변화된 화음(alteration chords)을 말한다.
증3화음(augmented traids)은 장3도 위에 증5도가 부가된 것이고 증7화음은 다시 그 위에 단7도나 장7도가 부가된 것이다. 장음계상에서 Ⅰ, Ⅳ, Ⅴ7 에서 발생하며 Ⅱm에서도 발생은 하지만 이 경우는 단3화음으로부터 조직되어 증화음으로 볼 수 없고 일시적 변화화음으로 간주한다. Ⅲm과 Ⅵm화음은 증5도 음이 화성음과 이명동음이고 ⅦΦ7 화음에서는 기본화음이 감5도이므로 증화음이 발생할 수 없다.
증5도 음은 반드시 상행하여 해결해 주어야 한다. 해결화음에 있어서 원칙적으로는 해결되어야 할 음을 포함하는 온음계상의 화음들 모두가 해당될 수 있지만 가장 자연스러운 진행은 근음강세(root motion)의 우선순위에 따라 근음이 완전4도로 상행하는 강한 마침(perfect motion 또는 strong cadence)이다. 증화음의 코드 심볼은 단순히 「+」으로만 표시하거나 「aug」의 약자로 표기하기도 한다.
참고로 증화음 중에는 증6화음도 있는데 이것은 반음계적 화음(altered chords)로서 [Altered Chords]의 장에서 자세히 언급한다.
증화음의 사용법
1. 경과적 사용
증화음들은 선율적으로 경과적 성격을 갖기 때문에 성부의 원활한 진행을 목적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주로 주선율(C.F)을 보조하는 반주를 포함하는 대선율(對線律, counter line)이나 내성(內聲, inner voice-멜로디와 근음을 제외한 성부)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경과적으로 사용되어져서 형성되는 반음계적 선율선을 「선 적 움직임의 패턴」(moving line pattern)이라고 한다.
2. 속화음(Ⅴ7)으로의 진행을 더욱 강화
속화음이나 2차 속7화음에서 7th→6th의 진행하는 라인을 ♯5th로 함으로서 6th으로의 지향성을 더욱 강조하게 된다.
3. 효과적인 사용
멜로디(foreground) 이외의 중경(middleground)이나 배경(background) 파트에서 증화음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독특한 상승효과를 줄 수도 있다. 대체로 프레이즈(특히 브릿지부분)의 연결부분 직전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는 화음의 증5도 음의 지향성과는 무관할 수도 있다.
증화음을 사용할 때에는 변화되지 않은 5음이 반드시 생략되어져야 하며-5음이 변화된 화음은 긴장음(tension note)이 아니다- 다른 성부에서도 나타나서는 안 된다.
증화음의 종류
⊙ 다음은 온음계상의 증3화음을 나타낸 것이다. 악보상의 두 번째 Ⅱm+는 구조적으로 증화음이 아니지만-3음이 단3도- 울림적으로 증화음으로 간주한다.
※ 증3화음은 자리바꿈 되어도 똑같은 형태가 되며 같은 울림이 된다.
⊙ 다음은 온음계상의 증7화음을 나타낸 것이고 ⑵와 ⑸는 증속7화음이다.
증화음에 대한 화음음계
증속7화음일 때 화음음계(chord ccale)는 각 음이 장2도의 균등한 관계를 갖는 6음 체계의 온음음계(whole-tone scale)를 사용하며 이때의 긴장음(tension note)는 9th와 ♯11th 이다.
※ 참고로 온음음계는 두 가지만이 존재하고, 5음이 변화된 코드(7+5, 7-5)에 적용한다.
'작편곡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학] 감7화음(Diminished Seventh Chords) Ⅱ (0) | 2011.01.02 |
---|---|
[화성학] 감7화음(Diminished Seventh Chords) Ⅰ (0) | 2011.01.01 |
[화성학] Ⅱ-Ⅴ진행(Two-Five Motion) Ⅱ 활용 (0) | 2010.12.27 |
[화성학] Ⅱ-Ⅴ진행(Two-Five Motion) Ⅰ 원리와 역할 (0) | 2010.12.26 |
[화성학] 5도권(Circle of Fifth) (0) | 201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