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학] Ⅱ-Ⅴ진행(Two-Five Motion) Ⅱ 활용
Ⅱ-Ⅴ진행의 활용(practical of two-five motion)
화음진행을 풍부하게 하기 위한 「Ⅱ-Ⅴ진행」의 사용은 주어진 멜로디와의 연관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서 속화음과의 연관성 유무에 따라 두 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전음계(diatonic scale) 상에서 독자적인 주화음 기능(부3화음 중 하나)으로서 어떠한 진행으로도 가능한 것과, 속화음 텐션노트의 확장 개념으로서 Ⅴ7와 쌍을 이루는「관계 Ⅱm7 화음」기능이다.
화성붙이기(harmonize) 할 때에는 화성적 리듬강세(대체로 「관계 Ⅱm7 화음」기능일 경우 Ⅴ7 화음은 약박에 위치한다), 멜로디 속에 포함된 텐션노트 등 선율 구성음들을 살펴 결정해야 한다. -[텐션]에서 언급되었듯이 속화음에서는 유일하게 11th음이 텐션노트가 될 수 없다.
화음음계(chord scale)는 조(key)나 대리관계 모두에서 Ⅱm7에 도리언(Dorian), Ⅴ7에 믹소리디언(Mixo-Lydian)를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Ⅴ7에 리디언 세븐(Lydian ♭7th)을 적용할 수도 있다.
1. 버금딸림(SD) 주화음 기능으로서의 기본적인 마침꼴(Cadence)
가장 강력한 마침꼴(cadence)인 도미넌트 모션(Ⅴ7-Ⅰ)의 앞에서 근음 강진행을 한 번 더 주어 조 중심(tonal center)을 강화시키게 된다. 이것은 Ⅴ와 연관되지 않은 독립적인 것이다.
2. 화성진행의 다양성과 가변성-같은 근음의 다른 화음으로의 진행
화음진행(chord progression)에 있어서 도미넌트 모션(dominant motion=perfect motion)에 의해 해결되는 화음은 동일한 근음(root)이라면 원칙적으로 장, 단조 모두에서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의 성격이 다른 화음으로 해결될 수 있다. -같은 근음이면 언제나 다른 속성의 화음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다.
① Ⅴ7 → major 7th(또는 major 6th) chord
② Ⅴ7 → minor 6th chord
③ Ⅴ7 → dominant 7th chord
④ Ⅴ7 → minor th chord
⑤ Ⅴ7 → augmented chord
⑥ Ⅴ7 → diminished chord
마찬가지로 도미넌트 모션 앞에서는 속화음을 「관계 Ⅱm7 화음」(related Ⅱm7 chords)로 분할한 「Ⅱ-Ⅴ 진행」에 의해 화성의 재배치(reharmonization)가 가능하고, 이것은 2차속7화음(온음계상의 어떤 화음을 강조하는)이나 조바꿈의 축(軸, pivot-새로운 조의 Ⅴ7나 그 대리화음) 앞에서 화성진행을 부드럽게 유도할 수도 있다.
위의 여섯 가지 속화음의 가변적 진행 가운데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것이 속화음이 동주조(tonic minor)로 진행하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단조의 으뜸화음으로 진행할 때는 장조에서 Ⅱm7이 Ⅱm7(♭5) -5음을 반음 낮춘 것(♭5·x7)으로 그 음은 단음계에서의 특징음인 제6음이다- 로 변화된다는 것이다.
다음의 악보는 단조의 특징음인 제6음이 투 파이브 모션에 포함되어 단조의 특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인데, 이때에는 속화음(Ⅴ7)에도 9th(역시 단음계의 제6음)을 부가하여 단조의 성격을 더욱 강화시킨다.
3. 대리화음(substitute chords)으로서의 화성 재배치(reharmonization)
⑴ 속화음의 분할부속화음이나 「순환진행」(cycle of motion) 등을 포함한 모든 속화음 앞 화성적 강박에서의 「관계 Ⅱm7 화음」의 자격이거나(다음 악보의 2소절 첫 박),위의 「활용-2」(같은 근음진행의 원칙)에서처럼 목적화음(Ⅴ7)을 순환적 속화음으로 하여 그 앞에서 「관계 Ⅱm7 화음」의 자격(다음악보의 ※표)으로 배치된다.(이때의 Ⅴ7는 대체로 약박에 위치한다)
⑵ 대리 속화음(subⅤ7)으로서의 Ⅱ-Ⅴ 확장(substitute dominant-extended chord)
기본적 Ⅱ-Ⅴ-Ⅰ 형태는 「related Ⅱm7」(G11)에 의해 다음처럼의 「substitute Ⅱ-Ⅴ」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 위 악보에서 점선의 기능표시는 근음의 반음진행을 의미한다.(dominant motion도 마찬가지)
※ ③은 「substitute Ⅱ-Ⅴ」(Ⅱ-Ⅴ진행의 대리), ①과 ②는 응용된 「substitute Ⅱ-Ⅴ」로서의 단2도 관계.
※ 그러나 Dm7과 A♭m7 끼리는 이질적인 음계 구성음 때문에 서로 대리할 수 없다.
4. 반복적 패턴「Ⅱ-Ⅴ진행」 후에 반드시 으뜸화음으로 해결되지 않아도 하나의 정형화된 화성패턴으로서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