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편곡 이론

[화성학] Ⅱ-Ⅴ진행(Two-Five Motion) Ⅰ 원리와 역할

musicanova 2010. 12. 26. 17:00

Ⅱ-Ⅴ진행(two-five motion)이란 어떤 조의 음계상의 화음(diatonic chords scale)의 2도 화음 Ⅱm7 또는 ⅡΦ7화음이 그 조의 5도 화음(속화음, Ⅴ7)으로 진행하는 것, 또는 두 화음의 결합을 말하며 재즈나 대중음악(popular music)의 화음진행이나 패턴으로서의 기본이거나 응용의 요소(하속화음의 강조나 조바꿈 등)로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Ⅱm7 화음은 서브도미넌트의 대리이기도 하지만 -이것은 도미넌트 모션으로 연결되어 4도 강진행(perfect 4th)이 연속된다- 도미넌트의 확장과 분할이라는 기능적 개념이 이론적으로 보다 우세하다.

Ⅱm7 화음이 반음 하행하여 도미넌트의 감5도 위의 대리화음(5·x7)으로 진행(Ⅱm77→Ⅰ)하더라도 「Ⅱ-Ⅴ진행」이라고 부르며 이때의 기능표시 └┘ 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Ⅲm7→Ⅵ7 등 부속화음(2차속7화음) 앞에서의 분할에 의한 것도 「Ⅱ-Ⅴ진행」이라고 하고, 또한 같은 기능 내에서라면 해결의 의무 없이 반복도 가능한 화성진행의 정형화된 틀로 사용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와 원리

 

4화음(7화음)의 장에서 언급된 온음계상의 화음들(diatonic chords)은 다음과 같다.

 

 

「Ⅱ-Ⅴ진행」을 이루는 구조적 출발점은 속화음(Ⅴ7)을 계속 쌓아 11th로 까지 확장했을 때의 겹쳐진 형태로서의 근친관계(relationship)이다.

이것을 바꿔 말하면 모든 속화음은 Ⅱm7→Ⅴ7의 화음진행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Ⅴ7화음은 다른 속성의 같은 근음을 가진 화음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속화음의 목적화음은 속화음으로 전환되어 그 앞에서 근음이 같은 단7화음(minor 7th)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1. 버금딸림화음(sub dominant)의 대리

 

위의 온음계상의 화음에서 주요 3화음은 ⅣM7(Ⅳ6)·Ⅴ7·ⅠM7(Ⅰ6)이다. 이 가운데 Ⅳ6 화음을 6음 베이스의 화음으로 자리바꿈하면 Ⅱm7 화음과 같게 된다. 따라서 Ⅱm7 화음은 버금딸림화음 가장 밀접한 대리관계의 화음이 된다. 즉 베이스의 음만 다를 뿐 공통음이 일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속화음(Ⅴ7)으로 진행을 할 때 바탕음의 완전4도 상행(또는 완전5도 하행)의 강진행(perfect motion)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코드진행을 「motion of 5th」라고 하며 보표의 양 화음 위에「^ 화살표 표시」 표시로 나타내고, 이렇게 5도 하행진행이 연속되는 것을 「순환 진행」(cycle of motion)이라고 한다. ☞ [5도권 참조]

 

 

위의 악보의 예에서 (a)의 기호는 도미넌트 모션(Ⅴ7-Ⅰ)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b)의 기호는 「Ⅱ-Ⅴ진행」을 뜻한다. 즉 맨 앞의 F6 화음을 Dm7으로 전환함으로써 4도 상행(5도 하행)의 강진행으로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되는 온음계적 순환에 의한 강진행은 다음과 같다.

 

 

※ 두 번째의 FM7 으로부터 세 번째의 Bm7(♭5)의 진행은 완전4도가 아닌 감5도(증4도)의 관계이지만 온음계적 순환진행을 위해 완전4도의 강진행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2. 딸림화음(屬和音)의 확장(extended of dominant)

 

「Ⅱ-Ⅴ진행」의 또다른 요소는 속화음(Ⅴ7)을 텐션노트의 확장(extension)에 의한 분할구조에 의해서이다. 그 구성 원리는 다음과 같다.

 

위의 악보에서 좌측 G11 화음의 5음으로부터 11th까지는 Dm7 코드가 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결과적으로 Ⅱm7 화음은 중심화음 가운데 Ⅳ와 Ⅴ7 모두에 밀접한 연관을 갖게 되고, 이러한 관계를 「관계 Ⅱm7 화음」(related Ⅱm7 chords)라고 하여 화음분석 상 두 화음 사이의 아래에 └┘ 표시로서 나타낸다.

이 원리는 결국 모든 속7화음은 화음의 확장이라는 개념으로서 Ⅱm7-Ⅴ7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온음계상의 연속적인 도미넌트 모션(완전4도 강진행)은 다음처럼 분할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