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용어 [ M-63 ]
M.M ♩= 멜쩰의 메트로놈
1분간의 박자 수를 나타내는 빠르기 표시로서 메트로놈을 개량한(1816) 독일인 멜쩰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태엽식과 전기발진에 의한 것이 있는데 M.M ♩=60 라고 적으면 1분간에 60번의 기준박(拍)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M.M(mass motion) 매스 모션(略)
집단적 진행(움직임). 전체 앙상블(또는 부분적 파트 내에서)에서의 어느 특정악기군(群; 예를 들어 brass, string 등)이 같은 리듬형을 연주하는, 즉 섹션을 가리킨다. 전체 합주(總奏)는 투티(tutti)라고 표시하여 따로 지정해주기도 한다. ☞ metronom
MA(multi audio) 엠·에이(略, 멀티 오디오)
멀티 오디오. 사전에 녹화된 영상에서 NG부분을 제외한 ok take 장면을 순서대로 이어 별도의 테이프에 복사하고 거기에 음악, 해설(narration), 음향효과 등을 첨가하는 작업. 생방송이 아닌 녹화방식의 특징이다.
macro 매크로
단축기능. 여러 개의 명령문을 하나로 간단히 줄일 수 있는 기능, 또한 하나의 명령으로 여러 개의 명령을 처리하는 기능.
macro tonal 매크로 토널
옥타브를 12등분 이하 대수적으로 동등하게 줄이는 튜닝 시스템. 옥타브를 11등분(edo)까지로 등분하기 때문에 각 등분은 100cent를 넘게 된다. (적어도 103.5cent) ‘12음 평균율 이외의 튜닝 시스템’이라는 역설적 정의에 따르면 "microtonal"의 하위 집합이다. ☞ scala tuning file 참고사이트 http://xenharmonic.wikispaces.com/macrotonal+edos
madrigal 마드리갈(伊)
14세기 및 16세기에 성행하였던 이탈리아의 성악. 14세기의 마드리같은 음악의 한 종류임과 동시에 시의 형태였다. 즉, 2~3연 3행시의 스트로파(stropa)에 2행의 리토르넬로(ritornello)가 붙은 것이 기본형이고 시의 내용은 전원시와 애정시가 많다.
maestro 마에스트로
거장. 뛰어난 교사, 대작곡가, 지휘자에 대한 영예로운 칭호이다. ☞ virtuoso(비르투오조)
magnetic declination 마그네틱 데클러네이션
자기의 3요소 중의 하나로서 편각이라고도 한다.
magnetic dip 마그네틱 딥
지구 자기장의 수직성분이 그 지면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 이 각은 보통 위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지고 북반구와 남반구에서는 그 반대로 된다.
magnetic recording tape 마그네틱 레코딩 테이프
얇은 플라스틱 표면 위에 자기 입자를 코팅한 녹음테이프.
magnetic sound recording 마그네틱 사운드 레코딩
자성체에 소리를 자기적으로 녹음하는 방식이다. 자성체를 일단 자화시키면 자기장에 따라서 잔류 자기가 남는 성질을 응용하고 있다.
magnetic tape 마그네틱 테이프
아세테이트나 폴리에스텔 등을 도포한 것으로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잔류자석 밀도로 변환하여 기록해 놓고 필요할 때 이것을 재생하여 원래의 신호를 살리도록 한 테이프를 말한다.
main amplifier 메인 앰플리화이어
프리 앰프 등의 출력을 증폭하여 스피커 시스템 또는 선로로 보내기 위해 쓰이는 장치이다. 대단히 큰 출력에 대해서도 디스토션이 없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보통 수100~수1000W의 출력이 얻어진다.
mainstream 메인스트림
어원적으로 주류(본류)를 의미하지만, 메인스트림은 말 그대로 현재 가장 인기가 있고 상종가중인 밴드와 곡들(유행)을 말한다. 재즈에서는 비밥(be-bop)과 하드밥(hard bop)을 일컫는다. 상대어는 비상업적이며 실험적인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소규모 독립음반사(indipendent=줄여서 「인디」) ☞ be-bop, 상대어는 indipendent (lable)
maintenance 메인터넌스
장비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보수, 보존하는 것.
major mode 메이저 모드
장선법(長旋法). 3도의 음이 장3도를 이루는 선법. 장조와 교회선법 중 리디언, 믹소리디언 선법도 장선법에 속한다. ☞ 단선법
mambo 맘보
1950년대 중반 재즈의 화성과 주법에 쿠바음악인 손(son)과 룸바(rumba)의 리듬이 결합된 것으로 8분음표 하나하나에 강세를 두는 독특한 리듬감이 특징이다. 부연하면 쿠바음악의 원류는 아프리카 음악(리듬)과 스페인음악(멜로디)의 결합이고 이러한 쿠바음악이 룸바라는 이름으로 뉴욕에 상륙하고 재즈와 만나 맘보가 되고 여기에 다시 중남미 여러 리듬이 뒤섞여 살사가 된다.
mandolin 만돌린
[MIDI# 26-16] 현악기의 하나. 스틸 현을 사용하며, 복현(12현 기타와 같이 2개의 현으로 하나의 음정을 낸다)으로 낮은 쪽으로부터 G-D-A-E로 조현하고, 실용음역은 MIDI Key 55~88(G4~E7)
map(ping) 맵(핑)
두 집합 간의 원소에 대응시키는 것. 함수(function)와 비슷하나 그보다 더 일반적으로 쓰인다.
maracas 마라카스
[GM drum#-70]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서 쓰는 리듬 악기의 하나. 야자수 과의 마라카 열매를 건조하여 그 안에 남아 있는 씨앗으로 소리를 내도록 한 토속적 체명악기. 두 개를 한 조로 하여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데 통상 오른손이 높은 음이 된다.
maracas 마라카스(西)
타악기의 일종. 표주박 모양의 '마라카' 열매를 말려 그 안에 있는 씨앗으로 소리를 내도록 한 대표적인 라틴 타악기로서 기타 트리오(guitar trio) 등에 널리 사용된다.
marcato 마르카토
음 하나 하나를 명확하게 연주하라는 지시어
march 마치
행진곡. 군대나 어떤 집단을 행진하는데 사용되는 음악(실용음악)이지만 이러한 정경을 묘사한 곡(예술음악)도 포함한다. 행진곡은 단순, 명쾌한 리듬과 규칙적인 프레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형식은 M-T-M, M-T-M-T-M(M은 주제, T는 보다 선율적인 trio 부분을 뜻함)의 주제부-트리오-주제부의 복합 3부형식이 많고 트리오 부분은 부드러운 선율의 성격을 띠게 된다. 템포가 빠른 행진곡에서는 2박자(2/4. 2/2박자, 즉 1마디 2걸음), 의식용의 템포가 느리고 장중한 행진곡에서는 4박자(4/4박자, 즉 1마디 4걸음)을 사용할 때가 많다. 19세기 후반에 취주악(금관+목관+타악기 편성)이 많이 유행되자 전적으로 취주악용 작품으로서 인기를 모으게 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인물이 미국의 수자(John Philip Sousa 1854~1932-튜바를 개량하여 수자폰을 만들었다)이다.
margin 마진
테이프 레코더 등의 오디오 기기가 다루는 최대 또는 최소의 신호 레벨과 실제에 입력되고 있는 신호와의 차이를 말하는데 단위는 dB를 사용한다.
marimba 마림바
[MIDI# 12] 멕시코 타악기의 하나로서 반음계로 조율된 목제건반 밑에 공명관을 단 목금의 일종이다. 콘서트 마림바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역은 41/3, 4, 31/2, 3옥타브 등 여러 가지이다. 소형(MIDI key F3~A6), 대형(C3~C7 보편적), 특대형(C3~C8)로 분류되기도 한다. 양손에 의한 트레몰로 주법이 이 악기의 독특함이라고 할 수 있다.
masculine cadence 매스큘린 케이던스
남성적 종지. 악절이나 곡의 마지막 음이 강한 박자에서 끝맺는 것.
masking 마스킹
서로 다른 주파수가 동시에 진동할 때 레벨이 약한 소리가 강한 소리에 이해 묻혀버리는 현상. 믹싱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소음 속에서는 대화를 알아듣기 어려운 것 같이 어떤 소리의 최소 가청 한계에서 다른 소리에 의해 상승하는 현상을 ‘마스킹 효과’ 라고 부른다. 즉, 들리는 음이 다른 음에 의해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이다. 마스킹의 정도는 목적음의 최소 가청 한도와 마스크 하는 소리가 있을 때 최소 가청 한도의 차로 나타내고 이를 마스킹 양이라고 한다.
masking effect 마스킹 이펙트차폐(遮蔽) 효과. 어떤 소리가 다른 소리를 마스크(가리는) 하는 현상. 예를 들면 오디오 테이프의 히스노이즈는 대소의 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출력되는데 음성신호가 녹음된 곳에서는 히스노이즈보다 음성신호 쪽의 레벨이 높아지므로 히스노이즈는 들리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마스킹효과라고 한다. 또한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큰소리로 말하지 않으면 들리지 않는 현상이나 순음의 저음과 고음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저음 때문에 고음이 들리지 않는 현상이나 명료한 보컬 소리가 매우 날카로운 일렉트릭 기타에 의해 어둡게 들리는 것도 마스킹의 효과 때문이다.
master 마스터
① 미디 정보(명령)를 외부로 전달하는 측을 말하며 상대적 반대말은 슬레이브(slave)라고 한다.
② 판매용 레코드, CD, 카세트테이프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완성적 테이프 원본으로 마스터 테이프 의 준말이다.
③ 악단의 책임자. 참고로 클래식에서의 관현악단 지휘자는 마에스트로(maestro)로 불려지고 대체로 제1수석 바이올린 주자가 악장을 맡는다.
master device 마스터 디바이스
다른 다수의 매체를 컨트롤하는 주체적인 매체를 말한다.
master fader 마스터 페이더
콘솔의 모든 프로그램 버스 레벨들을 한번에 조정하는 페이더. 주로 녹음기의 입력 레벨을 조정한다.
master keyboard 마스터 키보드
음원을 자체 내장하고 있지 않고 오직 다른 MIDI 디바이스를 컨트롤하기 위하여 MIDI 메시지만을 발생시키기 위한 MIDI전용 건반을 말한다.
master tape 마스터 테이프
카세트테이프 또는 디스크에 사용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믹스다운이 끝난 테이프.
mastering 마스터링
음악의 제작과정에서 별도로 녹음한 트랙이나 오버 더빙(over dubbing)시킨 테이프에서 바람직한 소리만 가려내어 다시 조합시킴으로써 완성된 상업적인 마스터를 만드는 마무리작업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곡 간(間)을 정리하고 악곡의 시간 정보와 프로그램 넘버(곡 번호) 정보를 기록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초창기에는 LP나 카세트 제작을 위해 아날로그 릴 녹음기를 사용했으며, 1980년 후반에는 유매틱 테이프를 매체로 삼은 소니(Sony)사의 PCM1630시스템이 업계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에는 매킨토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소닉 솔루션(Sonic solution)이 많이 사용되었다.
안정된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외에 다른 분야보다 정확한 고가의 모니터링 시스템(파워앰프나 스피커)이 요구되며, 멀티밴드 컴프레서, 이퀄라이저 등의 시그널 프로세서, DA/AD컨버터, 샘플레이트 컨버터를 비롯한 첨단 장비가 많이 쓰인다.
또한 디스크 제작기계에 의해서 스테레오 마스터 테이프의 전자적인 신호가 마스터 래커로 전환되어서 프레싱 기계에 전달되어 판매용 디스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말하기도 한다.
matching 매칭
정합. 신호전송로에서 최대출력을 전송하기위한 방법. 매칭의 기본적인 원리는 신호원이 내부저항을 지니고 있어 최대출력 전송을 위해서 부하는 신호원의 임피던스와 같아야한다. 능동소자가 포함되어 있는 곳에서는 입력과 출력 임피던스는 상당히 다르다. 입력 임피던스는 신호원에 매칭되어야 하며 출력부하는 출력 임피던스에 매칭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믹서 등의 출력 임피던스가 600Ω의 경우는 앰프의 임력 임피던스도 600Ω이 되도록 한다.
material 머티리얼
지속되지 않는 짧은 사운드 ☞ REX file
maximum 맥시멈
최대 값. 반대말은 minimum(미니멈; 최소 값)
measure 메줘
소절, 마디(bar). 악보표기에 있어서 주어진 박자(time signature)의 구분에 합당한 세로선을 뜻한다.
MCI(media control interface) 엠·시·아이(略, 미디어 컨트롤 인터페이스)
미디어 제어 인터페이스. MCI명령을 사용하면 DAW에서 재생 중에 다른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CD-ROM드라이브, 레이저디스크, 사운드카드,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의 웨이브파일을 제어 할 수 있는 특별한 이벤트이다. MCI 명령은 windows의 멀티미디어 확장의 일부이며,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명령]PLAY C:\Train.wav / [설명]Plays the Wave file Train.wav
[명령]PLAY C:\Videos\Vacation.avi / [설명]Plays the video file Vacation.avi from the VIDEOS folder
[명령]SET CDAUDIO TIME FORMAT TMSF PLAY CDAUDIO 3 / [설명]Plays a specific track from the CD drive
[명령]STOP CDAUDIO / [설명]Stops the CD from playing
MCIcmd event(media control interface command event)
MCI명령 이벤트. 미디어제어 인터페이스(MCI) 명령을 사용하면 재생 중에 다른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CD-ROM 드라이브, 레이저디스크, 사운드카드, 애니메이션, 비디오)를 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이벤트이다. MCI명령은 Windows의 멀티미디어 확장의 일부이다. MCI명령 이벤트는 MCI명령의 매개변수 명령 줄 텍스트가 있다.
mediant 미디언트
가온음, 음계의 제3음. 참고로 제6음은 sub mediant(버금 가온음)이라고 한다.
medium 미디엄
미디엄 템포의 줄임말로 보통빠르기를 뜻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재즈나 파퓰러 음악에서 쓰여 지는 용어이다. 의미상으로는 모데라토(moderato)와 해당 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빠른 템포를 가리키는 일이 많다.참고로 이보다 약간 느린 것을 medium slow(미디엄 슬로우), 이보다 다소 빠른 것을 medium fast(미디엄 패스트)라고 한다.
mega 메가
백만의 뜻을 가진 단위상의 접두어로서 기호는 M 이다.
melisma 멜리스마
가사의 1음절에 많은 음표가 주어지는 장식적인 선율법. 악구(노래)에서 몇 개의 음을 함께 묶어서 불려지는 것으로 이것은 두드러진 모음이나 모음들의 서정적 표현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기악곡에서는 선타음(appoggiatura, 아포자투라)과 같은 장식음을 뜻하고 특히 가스펠이나 소울의 노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가스펠의 용어로는 컬리큐즈(curlicues)이고 블루스 용어로는 ‘워링 어 워드’(worryin a word)라고 한다. 가사 사이에는 하이픈(hypen; - )으로 표시하며, 음표의 묶음은 ‘발켄’ 이라고 한다. ☞ 상대어는 syllable(1음절에 1음표를 주는 선율법)
melodic climax(es) 멜로딕 클라이막스
멜로디 라인의 절정을 일컫는 것으로 하나의 곡에는 통상 하나의 주된 절정(primary climax) -주로 브리지 악절 [B]의 마지막 부근이나 마지막 악절의 끝부분에 배치된다- 이 있고 각 악절(phrase)에는 약한 절정(secondary climax)이 있으며 곡을 쓸 때에는 두 가지의 절정을 가려내어 보이싱의 폭과 모양을 미리 정해 놓는 것이 좋다.
melodious 멜로우디어스
선율이 아름다운 것을 표현하는데 쓰는 말.
melody writing 멜로디 라이팅
선율 작법. 작곡의 기본 지침으로서 모든 순차진행(step-wise)과 도약진행(skip-wise-3도 이상의 음정)은 언제나 사용할 수 있고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4도 이상의 도약 후에는 반진행이 원칙이다. 또한 모든 증음정과 장 7도 음정은 목소리로 내기가 불편하므로 가급적 피해져야 한다. 같은 음을 3번 이상 반복하는 것도 그 선율의 특성이 사라지므로 피하는 것이 좋고 선율선(curve, 커브)이 활기 있게 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6도 이상의 대담한 도약을 2~3번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음정의 움직임(motion)이 없는 것은 하나의 음정으로 취급한다.
memory 메모리
기억 장치 또는 기억 소자로 컴퓨터 등에 쓰이는 디지털 메모리를 뜻한다. 메모리의 종류에는 IC를 이용한 반도체메모리, 자기 기록방식을 응용한 자기메모리, 광디스크를 이용한 광메모리 등이 있다.
memory rewind 메모리 리와인드
테이프를 지정된 위치에 기억시켜 되감는 녹음기의 기능.
Menuet/Menuett/minuet 미뉴엣(佛/獨/英)‘
작은’의 프랑스어 형용사 「menu」에서 온 말로 ‘작은 스탭의 우어한 춤’이라는 뜻이다. 17세기 중엽 루이 14세에 의해 궁정에 도입되게 되었다.
merge 머지
병합. 먼저 있던 데이터를 남겨둔 채 다른 데이터를 그 위에 거듭 덧씌우는 것. 믹스(mix)와 비슷한 의미이며 붙이기(paste)와는 반대개념이다.
Messiaen scale 메시앙 스케일
프랑스의 올리비에 메시앙에 의해 창안된 음계. 장, 단조의 음계구조에서 벗어난 것으로 일곱가지의 모드가 있는데 제 1모드는 온음음계(wholetone scale)와 같고 제 2모드는 컴비네이션 어브 디미니쉬드(combination of diminished; 줄여서 ‘컴디미’라고도 한다.) 음계와 같다. 다음은 일곱가지의 모드를 조표가 없는 상태로서의 배열 구조이다.
• 1st mode(C.D.E.F#.G#.A#)
• 2nd mode(C.D♭.E.F#.G.A.B♭)
• 3rd mode(C.D.E♭.F#.G.A♭.B♭.B)
• 4th mode(C.D♭.E.F.F#.G.A♭.B)
• 5th mode(C.D♭.E.F#.G.B)
• 6th mode(C.D.E.F.F.F#.G#.A#.B)
• 7th mode(C.D♭.D.E♭.F.F#.G.A♭.A.B)
meta data 메타데이터
요약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실제 데이터(소리, 문서파일)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 속성정보라고도 한다.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콘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인덱스(index) 역할의 데이터이다. 여기에는 콘텐츠의 위치와 내용, 작성자에 관한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메타데이터의 가장 좋은 예가 HTML 태그이다.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라는 것은 HTML 태그 안에 head나 body가 있으며, body 안에는 table이 올 수 있고, table 안에는 tr이, tr 안에는 td가 올 수 있는 것처럼 데이터가 상위에서 하위로 나무(tree) 형태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의미이다.
meta event 메타 이벤트 ☞ http://frontjang.info/276
미디채널에서 데이터의 첫 부분(16진수 FF)에 위치하는 노트이벤트 이외의 채널 정보.
Sequence number, Text event, Copyright notice, Sequence or track name, Instrument name, Lyric text, Marker text, Cue point, MIDI channel prefix assignment, End of track, Tempo setting, SMPTE offset, Time signature, Key signature, Sequencer specific event들이 있다.
metal tape 메탈 테이프
고감도의 초미립 순철(Fe)을 기본 자성 재료로 만든 메탈 테이프는 노말, 크롬 테이프에 비해서 높은 주파수 특성으로 기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약 1000 에스테르의 항자력과 3000 가우스 정도의 우수한 전류자속 밀도를 지니고 있어 좁은 면적 속에 많은 양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메탈 테이프를 사용한다.
Metamorphose 메타모르포제(獨)
주제나 악구가 자유롭게 변화 하면서 전개 되는 것.
metapo 메타포
은유적(隱遊的) 표현. 어떠한 예술적 표현을 전달할 때 그 사실을 다른 것에 빗대어 우회적으로 표현 하는 것. ☞ paradox(패러독스; 역설적)
meter 미터
① 박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소절구조에 있어서의 고동박(鼓動拍)의 일정한 집합. 박자에는 고동박(박자표의 분모에 해당하는... 기준박이라고도 함), 박(拍; metrical pulse-사실상의 리듬 박), 단위박(unit beat-고동박과 실제박의 세분화 된 공통단위로서 실제로는 비트 beat 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잘못된 명칭이다)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 된다. 일정한 지속(길이)에 대한 조직의 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이 속도, 악센트, 패턴과 결합됨으로서 형태적으로 리듬이 완성되는 것이다.
② 전압, 전류, 레지스터(register, 기록) 또는 신호 레벨을 지시하는 디바이스.
metrical unit 메트리컬 유니트
박절적(拍節的) 단위. 어떤 박자를 정규적(1/2, 1/4 등)으로 분할하는 것. 예를 들어 2/4박자에서의 박절적 제1분할은 8분 음표 4개이고 제2분할은 16분 음표 8개로 나누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박절적이 아닌 단위(non-metrical unit)란 2박자에 있어서의 3단위(8분 셋잇단음표 6개)나 3박자에 있어서의 제2단위인 점 8분 음표 4개 등 박절적 이외의 단위를 말한다.
metronom 메트로놈
박절기. 악곡의 박자를 측정하거나 템포를 지시하는 기계로서 1분간의 박자 수를 M.M ♩=60 등으로 악보에 기입하게 된다. ☞ M.M ♩
mezzo soprano 메조 소프라노
여성의 음역 속에서 소프라노와 알토의 중간 음역.(대체로 D4~D5의 음역이다)
mezzo staccato 메조 스타카토(伊)
주어진 음가의 3/4의 길이로 연주하며 슬러 아래 점으로 나타내거나 테누토(-) 아래 점으로 나타낸다.
MFM(modifed frequency modulation) 엠·에프·엠(略, 머디피드 프리컨시 모듈레이션)
수정한 주파수 변조. 몇몇 제작회사들이 디지털 녹음에 이용하고 있는 바이 페이즈(bi-phase)데이터 송출 방식이다.
MFX(multi effector) 엠·에프·엑스(略, 멀티 이펙터)
멀티 이펙터. 기타의 이펙터는 크게 네 가지(드라이브계, 위상계, 공간계, FX계)로 분류되는데 이것들이 하나의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FX는 ‘effect(s)’를 빨리 발음하면서 생겨난 신조어이다.
mic 마이크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약자. ☞ microphone
mic level 마이크 레벨
마이크로폰의 출력 레벨. 통상적으로 2mv이다.
mickey mousing 미키 마우싱
정확히 계산된 영상과 음악과의 긴밀한 일치. ☞ auto locator(자동 동기), cross modulation(교차변조), digital sync signal(디지털 동기신호), frame(프레임), LTC
micro polyphony 마이크로 폴리포니
음의 세분화, 밀집 다성. 다성 음악의 두꺼운 조밀도를 뜻하는 것으로서 그 안에서는 어떠한 성부도 결코 지배하지 않는다. 헝가리에서 독일로 망명한 리 게티(Gyrgy Ligeti 1923∼)로부터 시도된 현대음악에서의 중요한 작곡기법인 음괴 기법(音塊技法)으로서 음역을 온통 반음으로 가득 채워 독특한 울림(마치 안개 속처럼)을 창출한다. 대표곡으로 리 게티의 《ramifications》(라미피케이션)가 있다. ☞ cluster(클러스터)
microbar 마이크로바
음향학에서 사용되는 압력의 단위로서 기호는 [
microphone 마이크로폰
음향 에너지인 음압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유니트. 마이크로폰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현재는 콘덴서형과 다이나믹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다이나믹형은 습기와 충격, 음압에 강하지만 일반적으로 특성이 좋지 못하며 콘덴서형은 소형화가 되고 특성이 좋지만 습기와 충격, 그리고 잡음에 약한 것이 흠이다. 생략하여 「마이크」라고 한다.
microphone techniques 마이크로폰 테크닉스
마이크로폰의 종류와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
micro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
좁은 의미로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에 상당하는 기능의 대부분 또는 일부분을 LSI 상에 실현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매우 작은 처리장치라는 의미에서 논리회로 전반을 의미하며 프로그램 된 마이크로컴퓨터를 의미하기도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1971년 인텔사와 비디콘사의 공동 개발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micro-tone 마이크로톤
미분음. 반음(semi-tone;100cent)보다 작은 단위의 음정. 온음을 몇 분할하느냐에 따라 3분음, 4분음(quarter-tone), 6분음 등으로 부른다.
mid range 미드 레인지
음향 스펙트럼상의 중간 부분의 영역.
mid side 미드 사이드
음원의 정면을 향한 마이크로폰은 단일 지향성, 무지향성, 또는 양지향성 마이크로폰이고, 측면을 향한 양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방식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한 개의 케이스 안에 두 개의 마이크로폰 캡슐이 있으며 마이크로폰의 지향특성과 각도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MIDI (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미디(略, 뮤직 인스트루먼트 디지털 인터페이스)
1983년에 제정된, 서로 다른 전자악기사이의 규격을 통일시키기 위해 만든 규약.
MIDI device 미디 디바이스
MIDI port와 microprocessor를 내장하고 있어서 MID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MIDI implementation chart 미디 임플리멘테이션 챠트
미디규격에서 정한 송수신의 여러 정보를 각 악기마다 어떻게 반응하는가의 여부를 포괄적으로 적어놓은 일종의 안내문으로서 각 기기의 매뉴얼에 포함(대체로 뒷부분에)되어 있으며 악기 전체의 전송여부를 한눈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MIDI in 미디 인
사용하는 악기 쪽에서 볼 때 미디정보가 들어오는 단자. 반대로 MIDI out은 미디정보를 내보는 단자이며 MIDI THRU 단자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미디정보를 중계해주는 역할만을 한다.
MIDI lag 미디 래그
MIDI 메시지가 MIDI in 포트를 거쳐 MIDI Thru 포트로 출력될 때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MIDI merger 미디 머저
기기통합. 미디연결에 있어서 건반과 컴퓨터 양 쪽의 마스터 미디아웃을 묶는 것으로서 미디 쓰루(통과)박스의 역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기기는 입력된 두 개의 입력 미디 데이터를 하나로 모아서 출력한다. 둘 이상의 마스터를 사용할 경우 머저의 미디아웃을 제2의 머저 입력부에 연결하며 제3의 마스터의 미디 아웃을 이 머저의 두 번째 입력에 연결하면 된다.
MIDI message 미디 메시지
MIDI 기기 사이에서 MIDI 케이블을 통해 서로 송수신되는 음악적인 모든 내용을 일컫는다.
MIDI mixer 미디 믹서
어떤 복수의 MIDI 신호를 합치는 이펙터.
MIDI out 미디 아웃
미디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미디 출력 단.
MIDI patch 미디 패치
전자악기간의 입출력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각 악기를 접속시키는 것. 즉, 미디 케이블 연결의 통상적인 명칭. 미디로서가 아닌 패치의 개념은 어떤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변경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MIDI recorder 미디 레코더
다른 MIDI 기기에서 수신된 MIDI 메시지를 기록하여 편집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이다.
MIDI sync 미디 싱크
연결된 MIDI기기의 연주 시작 시간을 맞추어 주는 작업을 말하며, 어떤 기기의 클럭을 기본으로 하느냐에 따라 sync time은 달라진다. 대부분의 경우 시퀀서 기기의 클럭을 기준으로 다른 연결 MIDI 악기를 연주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시퀀서도 다른 외부기기의 클럭에 의해 싱크될 수 있다.
MIDI thru 미디 쓰루
다른 미디 시스템으로 미디신호를 통과시키는 출력 단.
MIDI Thru Box 미디 쓰루박스
한 개의 MIDI in 단자와 여러 개의 MIDI thru 단자를 보유하는 접속상자를 말하고 여러 대의 종속(slave)악기를 사용할 경우에 케이블에 따르는 지연손실(delay loss)손실을 막기 위하여 사용된다.
MIDI workstation 미디 워크스테이션
건반을 포함한 다양한 미디 컨트롤러(조작자)와 음원의 내장, 시퀀싱 기능과 드럼머신 기능이 함께 있는 미디 기기로서 Korg社의 M 1 이나 T시리즈, YAMAHA社의 SY 99 등이 이에 속한다. 낮은 가격대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일체화시켰기 때문에 각 세부기능별로는 전문기기에 비해 그 특질(quality)은 떨어지는 편이다.
minimalism(systematic) 미니멀리즘(시스테마틱)
함축어법, 최소주의. '미니멀리즘'이라고 하면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예술과 문화적 흐름을 말하지만, 음악에서의 미니멀리즘은 가장 핵심적인 주제를 담은 선율과 리듬을 극단적인 단순함과 반복이 특징이다.
현대음악(64년 이후)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음악장르로서 그 발원의 배경은 비 서구음악(인도음악 등)이다. 특징은 단순한 음형이 끝없이 반복하는 멜로디와 하모니, 그리고 절제된 즉흥연주를 통해서(혹은 동기가 음의 추가, 음 생략 등으로 변화되어 발전하는 등)보이지 않게 얽히는 움직임을 표현하는 데 있다. 거기에는 전통적 음악의 핵심적 개념이랄 수 있는 발전(development)보다 전개(display)개념이 우세하며 장르를 뛰어 넘는 것도 빈번하다.
* 필립 글래스(Philip Glass), 스티브 라이히(Steve Reich 1936~) 등이 대표적 작곡가이다. ☞ process music(tape loop)
minimum 미니멈
최소 값. 반대말은 최대 값(maximum; 맥시멈).
minor mode 마이너 모드
단선법(短旋法). 3도의 음이 단3도를 이루는 선법. 단조와 교회선법 중 도리언, 프리지언 선법도 단선법에 속한다. ☞ 장선법
mirroring 미러링
투영법(投影法), 대칭적 반진행. 같은 음정, 또는 같은 종류의 화음에 의한 병행법을 양성부에서 서로 반진행 시키는 것.대위법에 있어서의 성부 간에 5, 8도가 발생하면 이 대칭법(mirror style=contrary motion, 반진행)을 사용하여 5, 8도 병진행을 피해야 하는데 성부 간의 이 대칭적 반진행은 늘 몸에 배어 있어야 한다. 투영법에는 음정의 투영법과 화음의 투영법이 있고, 반음계적 투영법, 전음계적 투영법으로 재분류 한다. 투영법을 사용하면 색다른 경과적 화음이 생기게 된다.
mix 믹스
두 개 이상의 신호(음향 또는 비디오)를 하나의 신호로 혼합하는 것.
mix down 믹스다운
멀티트랙 녹음(MTR)에서 적은 수(스테레오 2채널)의 트랙을 가진 녹음기로 옮기는 과정. 예를 들면 48트랙 녹음기에 넣은 신호를 2트랙 스테레오 녹음기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소리를 이펙터로 가공 처리한다. ☞ track down
mixed voices choir 믹스드 보이시스 콰이어
혼성합창. 참고로 남성합창은 male chorus, 여성합창은 female chorus라고 부른다.
mixer 믹서두개 이상의 입력신호로부터 (각각의 강도비율로) 조합하여 하나의 출력신호를 얻는 회로나 기기.
① 음의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악기 마이크, 테이프 레코더, 필름 프로젝터, disk player 등으로부터 하나의 프로그램 음을 만드는 기기나 그것을 조작하는 사람.
② 영상의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영상신호를 중첩하거나 혼합시키는 기기.
③ 방송에서는 송신소에서 변조하기 이전에 신호원들을 합치는 장치.
④ 주파수 변환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두 입력 신호를 받아서 합과 차의 주파수 조합을 출력으로 내놓는 회로 시스템.
mixing console 믹싱 콘솔
신호의 음색 조정, 패닝, 모니터 조정, 솔로 기능, 채널 설정, 그리고 신호를 시그널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기능을 지닌 오디오 장비. ☞ console
MMA(MIDI manufacturer association) 엠·엠·에이(略, 미디 메뉴팩츄얼 어솟씨에이션)
미디 규격 검토위원회. 일본의 JMSC(일본미디 제작자협회)의 요청에 따라 미국 측에서 IMA(international MIDI association;국제 미디협회)라는 제조업체와 소프트 하우스를 회원으로 한 통합된 조직으로서 각 업체의 ID도 관리하고 있다. 현재 새로운 제안이나 미디규격의 변경에 관한 내용은 JMSC와 MMA의 협의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MMC(MIDI machine control) 엠·엠·시(略, 미디머신 컨트롤)
MIDI를 통해 MMC가 장착된 원격장치를 제어하는 규약(프로토콜)이다. 테이프 데크, 비디오 레코더, 심지어 다른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같은 원격 MIDI 장치의 재생 및 녹음을 시작하고 중지하는 MMC를 사용할 수 있다. 당신은 당신의 스튜디오에서 여러 MMC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있는 경우 MMC 명령은 특정 장치에 해결 될 수 있도록, 각각의 고유 한 장치 ID를 할당한다.
MIDI타임코드 동기와 함께 사용하면 MMC는 매우 강력하다. 예를 들어, 타임코드를 생성하는 MMC 가 장착된 디지털테이프 데크를 가지고 프로젝트의 타이밍 마스터테이프 데크를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SONAR의 전송컨트롤은 SMPTE/MTC 동기화를 통해 SONAR에서 재생을 정지 회전 시작과 테이프 데크에 MMC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SONAR의 전송버튼(재생, 녹음 및 정지)이 테이프 데크의 버튼을 원격제어 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에서는 타임코드 마스터로 한 MMC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선택해야한다.
MMCSS(multimedia class scheduler service) 엠·엠·시·에스·에스
시간에 민감한 처리를 위한 CPU 리소스에 대한 우선순위의 액세스.
MME(multi-media extensions) 엠·엠·시(略, 멀티미디어 익스텐션)
마이크로소프트社의 윈도시리즈에서 사용하도록 개발된 멀티미디어 확장 오디오 드라이버이다.
MME 녹음은 모든 오디오트랙을 합쳐 16비트의 깊이와 최대 44.1kHz의 샘플링속도에 의해 두 개의 채널(stereo)로 구현(emulate)할 수 있다. ☞ WDM(windows driver model)
Mmp5↓(melodic minor perfect 5 below) 멜로딕 마이너 퍼펙트 핍스 빌로우
5도 아래의 가락 단음계의 제5음을 음계의 중심으로 삼아 배열된 음계를 말하는 것으로 2차 속7화음 가운데의 Ⅴ7ofⅡ의 화음음계(available note scale)로 쓰여진다. 긴장음(tension note)은 9th, b13th이며, 11th(다음 해결화음의 근음)은 회피음(avoid note)이다. 11th음이 사용되면 sus4 화음으로 되어 코드의 성격이 달라진다. Ⅴ7ofⅡ(C조의 경우 A7)의 화음음계는 Hmp5↓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C조의 조성감을 유지시키기 위해 이 Mmp5↓ 음계를 사용하는 것(b9th과 9th의 차이)이다. ☞ Hmp5↓(harmonic minor perfect 5 below)
modal interchange 모달 인터체인지
선법 변환. 일시적으로 같은 으뜸음(主音)을 갖는 조로 바뀌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이 장조의 경우 동주단조로서의 변환이다. 그 대부분은 ♭6th에 의한 SDm 기능(또는 그 대리기능)이지만 Tonic minor, Ⅱm(♭5) 기능도 있다. 마침꼴(Cadence)로서의 「Picardi 3rd」(단조의 장조화음 마침), 음계적 변환으로서의 「Dorian Ⅵ」도 같은 맥락이다.
mode messages 모드 메시지
미디의 송수신에 대한 종류를 결정하는 메시지로서 4개의 모드가 정의되어 있고 그 편성은 미디 구현 표(MIDI implementation chart)에도 표기되어 있다. 대개의 악기는 모드 1, 3 이며 이것은 송신 시 미디 아웃에서 송신채널에 놓은 전체 보이스 메시지가 보내지는 것을 의미하며 모드 2 에서는 보이스 메시지가 모노포닉(단음)으로 된다.
• Mode-1(OMNI on poly): 전체 채널의 보이스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방법에 따라 폴리포닉으로 할당한다. 즉, 시퀀서에서 각 음에 균등하게 입력되고 채널은 인식되지 않는다. 송신에 있어서는 전체의 보이스 메시지는 기본채널(basic channel ; 1CH) N으로 보내어 진다.
• Mode-2(OMNI on mono):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모드로서 전체 채널의 보이스 메시지를 받아들이지만 하나의 보이스만을 컨트롤하며 송신에 있어서도 하나의 보이스 메시지만을 베이직 채널로 보낸다.
• Mode-3(OMNI off poly): 가장 일반적인 모드로서 수신채널로 설정한 채널의 보이스 데이터만을 받고 폴리포닉의 연주가 행하여진다. 수신은 기본채널 N(보편적으로 1CH)의 보이스 메시지만을 받아들이고 각각의 보이스에 폴리포닉으로 할당(assign)한다.(즉, 채널이 같은 데이터만을 받아들인다) 송신에 있어서는 전체에서 보이스에 대응하는 보이스 메시지가 베이직(기본)채널로 보내진다.
• Mode-4(OMNI off mono): 베이직 채널 N 에서 N+M-1까지의 보이스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보이스 1~M 까지 각각 고정적으로 할당할 수가 있다. 즉, 보이스 수마다 채널 설정이 가능하다. 송신에 있어서는 보이스 1~M 까지 대응하는 보이스 메시지는 각각 고정적으로 베이직 채널에서 +M-1로 보내진다.
• Multi mode(OMNI off mono): 모드 메세지 4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킨 것으로서 필요한 보이스 수를 필요한 파트에 할당하여 음원 유니트(모듈)와 샘플러 등의 활용을 향상 시킨다. 이 모드는 음원의 보이스수 마다 최대 16음 이내에서 따로따로 미디채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실제의 채널 할당은 기본 채널 N(basic CH-기본 채널은 0부터 시작되어 0 이 1채널이므로 1을 +한 값이 채널 값이 된다) +M(보이스의 수) -1의 공식이다.
model ID(identification) 모델 아이디(아이덴터피케이션)
모델 구분. 익스클루시브 메시지에서 ‘사전에 등록된 제조업체별 코드넘버의 대조’를 뜻한다.
moderato 모데라토
악보에서 「보통 빠르게」 라는 뜻. 대중음악에서는 보편적으로 medium(미디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M.M ♩=108~120이 이에 해당한다. ☞ medium
modern jazz 모던 재즈
재즈의 초기부터 스윙시대까지를 구분하여 1940년대 이후 혁신적인 재즈 스타일을 말한다. 빅밴드의 댄스음악이었던 재즈가 감상음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모던재즈의 아버지’로 불리는 챨리 파커(알토색소폰)를 비롯, 실로니어스 몽크(피아노), 디지 걸레스피(트럼펫)가 변혁의 선봉에 섰으며 이들은 순간적인 느낌을 살려 멜로디-리듬-화음을 자유롭게 바꾸는 즉흥연주, 복잡하고도 분방한 멜로디와 사운드 변화가 특징인 「비밥」(Be-bop)을 탄생시켰다. 이후 모던재즈는 테너의 레스터 영, 기타의 챨리 크리스티안 등으로 이어지며 현대적 의미의 재즈 토대가 된 「하드밥」(hard bop), 「프리 재즈」(free jazz),「퓨전 재즈」(fusion jazz) 등으로 이어졌다. ☞ hard bop, free jazz, fusion jazz
modifier 모디 휘어
VCF나 VCA와 같이 음성신호에 여러 가지 형태의 변화를 주도록 작용하는 장치. ☞ VCF, VCA
mods 마즈
1950~1960년대에 걸쳐서 런던에서 단발, 재킷, 좁은 바지로 독특한 패션을 해서 스쿠터를 타고 다니는 불량소년들의 재즈 광에게 붙여진 이름. 영국의 일상적 구어 MODERATIONS(절제)에서 파생된 말로서 노동자 계급과 중류 이하의 계급에 속한 사람들이 욕구불만을 표하고자 화려하게 차려 입은 젊은 사람들을 일컫는다.
modulation 모듈레이션
① 본래 「변조」의 뜻이지만, 미디에서는 비브라토를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비브라토(vibrato), 트레몰로(tremolo), 그로울(growl) 효과를 말하며 제어 조작자는 CC# 1 로 할당되어 있다.
② 악곡의 중간에 현재의 조(調; key)로부터 다른 조성으로 변화되는 것을 말하며 이때는 통상 양쪽 조에 공통되는 축(軸; pivot) 화음을 가진다. 조바꿈에는 관계조에 의한, 장, 단 2도의 상, 하행에 의한, 변화화음(altered chord)을 축으로 한, 수식적(일시적) 전조 등이 있다.
modulation controller 모듈레이션 컨트롤러
변조(비브라토) 조작자. 신시사이저에서 모듈레이션(일반적으로 vibrato)효과를 제어하는 조작자. 레버(lever)형과 휠(whell)형, 조이스틱(joi stick)형 등이 있다. modulation wheel(모듈레이션 휠)이라고도 한다.
module 모듈 장비의 일부분으로서 내부 접속된 구성 부분의 집합체. 모듈은 접속부를 분리시킬 수 있고 유니트와 같이 탈착이 가능하다. 음악작업에 있어서는 통상 각종 음원을 담아놓은 기기를 가리킨다.
monaural 모노럴
단청(單聽). 모노(mono-스테레오의 반대되는 말)와 오럴(aural, 청각)의 합성어. 소리를 오직 한쪽 귀를 통해 듣는 것. 모노포닉과는 다른 의미이다.
monitor 모니터
「듣다」, 또는 들어보기 위한 스피커의 별칭. 사용자가 직접 눈이나 귀로 상태를 확인하는 행위나 그 (화면)장치를 가리킨다.
monitor speaker 모니터 스피커
소리의 음질과 위상 정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피커.
monitoring 모니터링
검청(檢聽). 녹음시에나 편집, 합성과정 시에 오디오 신호(울림)를 듣는 행위. 증폭기를 통한 스피커, 또는 헤드폰으로 모니터링 한다.
mono 모노
오디오 채널이 하나인 프로그램. 모노포닉 프로그램은 하나의 스피커로도 재생이 가능하다.
mono compatible 모노 컴패터블
스테레오 채널을 모노로 모니터할 때 주파수 특성과 밸런스가 거의 변하지 않는 스테레오 프로그램.
mono timbral synthesizer 모노 팀브럴 신시사이저
한 번에 한 가지의 음색으로만 연주 가능한 신시사이저이다.
☞ monophonic synthesizer, polyphonic synthesizer, poly timbral synthesizer
monophonic 모노포닉
피치 라인이 한 번에 오직 한 음씩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 전형적인 모노포닉 신시사이저에서는 건반 중에 오직 한 개의 키(key; 건반) 만이 영향을 받아 화음연주는 불가능하다.
monophonic synthesizer 모노포닉 신시사이저
한 번에 한 음 밖에 낼 수 없는 신시사이저로서 이러한 신시사이저의 경우 코드는 연주할 수 없고 오직 단음(멜로디) 연주만이 가능하다. ☞ mono timbral synthesizer, polyphonic synthesizer, poly timbral synthesizer
monophony 모노포니
단성음악. 그리스어의 「monos」(단일)와 「phonos」(음)와의 합성어로서 단선율의 음악형태 또는 양식을 가리킨다.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음악형태이나 현재는 동양의 자연 민족의 음악(민요 등)에 모노포니의 형태가 많다. ☞ 상대어는 polyphony, homophony.
mosfit 모스피트
조정실의 모니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잡음이 나는 테이프 데크를 격리하는 특수 상자.
motet(英,佛) / Motette(獨) / mottetto(伊) 모테트(英,佛,獨) / 모테토(伊)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를 전성기로 하는 대위적 다성 성악곡의 명칭. 중세에서는 정선율(테너)의 지배와 다(多)가사성(polytextuality 폴리텍스츄얼리티)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적 성악곡이다. 전형적인 타입은 테너의 정선율 위에 각기 다른 가사를 지닌 2성부가 동시에 노래되는 것으로서 이를 ‘2중 모테트’ 라고 한다. 르네상스 시대에서는 종교적인 내용으로 다시 변모하게 되어 4성부가 표준화하여 각 성부가 공통적인 가사를 지니고 상성부의 자유로운 표현이 증대됐다. 오늘날의 모테트 양식이란 모방 대위법에 의한 다 부분 합창 양식을 의미하는데 푸가의 중요한 밑바탕이 되었다.
motion graphic design 모션 그래픽 디자인
영상, 이미지 등을 3차원의 공간에 배치하는 기술. 영화 등에 주로 활용된다.
motive/Motiv 모티브/모티프(獨)
동기, 곡 전체 혹은 부분을 통일시키는 요소로 나타나는 짧은 음형(figure). 음악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의미를 갖는 최소의 단위(통상 2마디)로서 선율적, 리듬적으로 고유의 특징을 가진다.(기악곡에서는 화성적 동기도 있다) 흔히 주제(theme)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음악의 주제를 형성하는 멜로디의 최소 단위이다. 주제는 대체로 4~8마디의 좌우 균형적(?→! 아래 규칙 중 9번처럼) 구조로써 화성적 완결성을 보여준다. 동기가 동적이자 기악적이라면 주제는 선율적(정적)이자 성악적 성격이 강하다. 성격이 뚜렷한 보다 작은 단위의 동기적 주제는 소젯토(Soggetto)라고도 한다. ☞ figure(피겨, 음형), theme
movable do 무버블 도
이동「do」. 조성에 따라 바꾸어지는 주음(tonic)을 do로 하여 음계적으로 계이름을 적용시키는 독보법(讀譜法). 음계가 조성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도」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단조에서의 토닉은 모두 라(la) 로서 통일되어 있다. 절대음감의 소유자라면 고정「do」나 이동「do」의 의미가 없겠지만 이론학습이나 빈번한 조바꿈, 현대음악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면 작곡, 편곡, 연주에서 이동「do」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fixed do(고정 「도」), syllable names
movement 무브먼트
악장(樂章). 소나타곡, 조곡, 교향곡, 협주곡, 모음곡 등의 연속적 악곡을 구성하는 각 단계로서 발전부(divertimento) 등처럼 독립적인 완결부를 가지는 악곡의 단위이다. 제1악장, 제2악장과 같이 표시한다.
movement between lines 무브먼트 비트윈 라인스
성부의 움직임.
① paralleled motion(패럴렐드 모션): 병진행
② contrary motion(칸트랠리): 반진행
③ oblique motion(어블리크 모션): 사진행
④ similar motion(시멀러 모션): 두 성부가 음정은 달라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대위법적 성부의 진행에 있어서 병진행(특히 5, 8도)은 상대 성부의 울림을 방해하고 자체적으로도 대위적 성격을 모호하게 하므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moving coil 무빙 코일
다이내믹 마이크 진동판에 감긴 코일, 또는 스피커 진동판에 감긴 코일.
moving coil microphone 무빙 코일 마이크로폰
소리의 진동에 따라 마이크로폰의 진동판 뒤에 부착된 코일의 움직임으로 전압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폰.
moving line patterns 무빙라인 패턴
선(線)적인 움직임의 패턴. 하나의 코드가 지속되는 동안 변화를 목적으로 한 성부가 선율적인 선을 만들며 움직이는 패턴(대체로 순차진행)으로서 보컬의 멜로디나 내성(內聲), 베이스 등 어느 성부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하행(8th-M7th-7th-6th)의 패턴이 대표적이며 상하행(5th-6th-7th-6th), 하상행(7th-6th-5th-6th)패턴 등이 있다. ☞ cliche(크리셰)라고도 한다.
Mozart 5th 모짜르트 피프스
성부 진행(voice leading)에 있어서는 5, 8도 병진행을 엄격히 제한-대위법의 원리를 무효하게 한다-하고 있는데 증6화음(augmented 6th chord)이나 변화화음(altered chord)의 사용 시에는 필연적으로 5도 병진행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는 병진행이 허용되면서 이를 Mozart 5th라고 한다. ☞ movement between lines(성부의 움직임)
MP3(MPEG Audio Layer-3) 엠․피․트리(略)
영상 압축기술의 표준규격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규정한 오디오 데이터 압축기술의 하나로, 오디오용 데이터로 저장한 컴퓨터파일을 의미한다. CD음반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도 CD의 50배로 압축이 가능하여 인터넷상에서의 주문형 음악(AOD) 및 인터넷 FM 라디오방송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MP3는 1988년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Fraunhofer Institute)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 디지털 음악 압축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져 오고 있다. 1994년 7월 프라운호퍼 협회(Fraunhofer Society)가 ‘I3enc’라는 첫 번째 MP3 소프트웨어를 선보였고 1년 뒤인 1995년 7월 ‘.mp3’라는 확장자가 프라운호퍼 연구소에 의해 정의되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하였다.
MP3파일은 음향데이터 중에서도 사람의 가청주파수가 아닌 영역대의 소리는 삭제하고 남은 정보들을 모아 재연결하여 만들어내는 것이다. 오디오 데이터 압축기술은 MP3 파일 이외에도 wav파일, ra파일, rm파일 등이 있으나 MP3파일의 압축기술과 음질이 비교적 우수하다고 평가받고 있어 1990년대 중후반 이후부터는 MP3는 음악을 소비하는 가장 대중적인 파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휴대용 MP3 플레이어는 한국의 벤처기업 디지털캐스트가 1997년 처음 개발하였고 세한정보시스템과 전략제휴를 통해 특허를 공동 출원하면서 처음 선을 보였다. 이후에 삼성전자, 아이리버, 소니, 애플 등이 MP3 플레이어 시장에 진입하여 경쟁을 벌였으며, 스마트폰시장이 성장하면서 MP3 플레이어의 기능은 스마트폰에도 내장되게 되었다. ☞ MQS(mastering quality sound), CD
MP4(MPEG-4 Part 14) 엠․피․포(略)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개발한 MPEG-4기술을 기반으로 압축된 파일(영상과 음성) 및 멀티미디어 컨테이너포맷 표준이다.
1988년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Fraunhofer Institute)에서 처음 연구가 시작되어 여기서 개발한 MPEG-1(1993년), MPEG-2(1995년)와 같은 동영상 표준규격이 전세계에서 널리 쓰였다. 그러나 이것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계점이 드러나기 시작했고 새로운 컴퓨터기술에 부응하고자 1999년에 ‘MPEG-4’를 발표했다. MPEG-2의 뒤를 이어 발표된 기술이지만 MPEG-3 대신 MPEG-4라는 명칭이 붙었다.
이 MPEG-4의 일부로 규정된 멀티미디어 표준이 ‘MPEG-4 파트 14’이며 간단히 줄여서 MP4 라고 하여 ‘.mp4’ 라는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이다. 이것은 MPEG-1와 MPEG-2에 비해 적은 용량으로도 고품질의 영상 및 음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용량이 적기 때문에 저장공간이 적은 휴대용 기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streaming-실시간 전송 재생)을 지원한다.
MP4라는 명칭 때문에 기존의 음성파일 표준규격인 MP3의 후속기술로 착각될 수도 있으나 MP3파일은 MPEG-1기술의 기반이고 MP4파일은 MPEG-4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기존의 MP3보다 압축률이 높고 음질도 우수하다. ☞ MP3
MQS(mastering quality sound) 엠․큐․에스(마스터링 퀄리티 사운드)
무손실 음원. Sony社가 개발한 오디오 포맷으로서, 스튜디오에서 마스터링 시 다루어지는 고해상도 음원을 뜻한다. 손실음원인 MP3 파일이 고품질(320bps)이라 해도 곡 당 평균 6~7MB 정도의 크기인데 반해 MQS는 곡당 200MB 이상의 데이터로 제작되며 높은 해상력을 통해 풍부한 공간감과 세밀하고 역동적인 표현을 제공한다. CD가 16bit, 44.1 kHz 해상도인데 비해 MQS는 24bit, 48 kHz~192kHz의 스펙을 가지고 있다. ☞ MP3, CD
MR(Music only Read) 엠알(뮤직 온리 리드/뮤트드 레코드)가수의 노래가 빠진 반주음악. vocal을 제외한 반주만을 2track stereo로 믹스한 것으로서 muted record 라고도 한다. ☞ A&R
MSB(most significant byte) 엠·에스·비(略 모스트 시그니피컨트 바이트)
최상위 바이트. 컴퓨터의 한 워드를 구성하는 비트 열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바이트로서 제일 왼쪽에(또는 위에)위치한다. ☞ 반대말은 LSB(최하위 바이트).
msec(millisecond) 밀리세컨드(略)
밀리 초. 1000 분의 1초의 단위를 말하는 것이며 인간이 개개의 음을 식별할 수 있는 두음 사이의 타이밍은 화음을 포함하여 20mses 이상이다.
MSR 엠·에스·알(略, 뮤트, 솔로, 레코드)
mute(음 소거), solo(독주), record(녹음)의 준말. DAW에서 묶음 버튼으로 되어있다.
MTR(multi track recorder) 엠·티·알(멀티트랙 레코더)
다중 녹음기. 여러 개의 트랙이 분리가 가능하여 동시에 녹음하거나 오버 더빙이 가능한 녹음 장비로서 근래에는 컴퓨터나 시퀀스에도 이러한 녹음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 multiple recording(멀티플 레코딩)
muddy 머디
과도한 간섭이나 잔향으로 소리가 명료하지 못한 상태.
muddy sound 머디 사운드
‘진흙탕 울림’ 이라는 뜻으로 오케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일정한 저 음역 이하에서 악기 간의 상호 충돌로 발생하는 지저분하거나 선명치 못한 울림을 말하며 클라우디 사운드(cloudy sound-흐린 울림)이라고도 한다. 이 울림을 피하기 위해서는 그 기준점이 되는 낮은음자리표의 넷 째줄 음인 MIDI key# F4음 아래로 내려가면 하성부와 중간 선율선 사이가 최소한 완전 5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고 그 기준음의 아래(MIDI key# E4 음)로부터는 단2도가 발생 되어서는 안 된다. ☞ low interval limit(저 음역 음정 사용한계)
multi core cable 멀티 코어 케이블
많은 케이블(보통 8, 12, 16, 24케이블)이 들어 있는 실드선. PA(SR)의 스테이지 위(마이크로폰 등)에서 믹싱 콘솔 사이에 많은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multi effects 멀티 이펙트
딜레이, 리버브, 코러스 등 여러 가지 이펙터가 내장되어 있는 기기.
multi effects processor 멀티 이펙트 프로세서
여러 종류의 이펙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신호 처리기.
multi headphone Amp 멀티 헤드폰 앰프
스튜디오 안에서 음악 연주 시 각 플레이어들이 현장의 믹싱된 소리를 헤드폰으로 듣게 되는데 이때 여러 명이 동시에 듣기 위해서 신호를 크게 증폭하여 분배하기 의해 사용하는 기기.
multi meter 멀티 미터
다박자(多拍子). 매 소절마다 또는 2, 3소절마다 박자가 변하게 되는 리듬. 16세기의 작곡가들에 의해 흔히 사용된 것이며 20세기 음악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박자가 규칙적으로 변화되면 박절적 동형진행(metrical sequence)이라고 부르며 박자표의 표기도 보표 첫머리에 묶어서 나타낸다. 박절적 리듬과 자유 리듬을 구별함에 있어서 박절적 리듬은 고동박(鼓動拍)이 항시 같은 길이로 되어 있어 박자가 변해도 박절적이라는 점에 있다. ☞ irregular time(변화 박자), multi metric(다박자 형식)
multi metric 멀티 메트릭
다박자(多拍子) 형식. 악곡 중에 박자가 빈번하게 바뀌는 것으로서 규칙적 다박자와 불규칙적 다박자가 있다. ☞ irregular time(변화박자), multi meter(혼합박자)
multi point recording 멀티 포인트 레코딩
악기마다 각기 마이크로폰을 주어 수음(受音)하는 방식. 각 악기 또는 악기 그룹의 소리를 소재로 한 악기의 공간적 배치나 음량 밸런스가 엔지니어와 프로듀서에 의해 재구성된다. 파퓰러음악(대중음악)의 수음 방식으로 확립되었지만 최근에는 클래식 음악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이 방식은 멀티테이프 레코더에 수록한 후 믹스 다운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
multi timbral 멀티 팀브럴
다중 음색. 서로 다른 미디 채널을 사용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패치를 연주할 수 있는 신시사이저.
multi track 멀티 트랙
스테레오 2채널 외 즉 4개 이상의 신호를 기록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트랙을 말하는데 보통 4, 8, 16, 24, 32, 48, 트랙이 있다.
multi track recorder 멀티 트랙 레코더
4개 이상의 트랙을 가진 녹음기.
multi trigger 멀티 트리거
다중동작 신호펄스. 신시사이저의 메커니즘 중 단일트리거의 반대 개념으로서 레가토 주법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매번 새로운 키가 눌러질 때마다 새로운 트리거 신호를 엔벨로프 제네레이터(EG; 소리 발생기)에 보내지도록 하는 건반의 논리 조작 방식. ☞상대어는 single trigger
multimedia 멀티미디어
다중 매체. 불확실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둘이나 그 이상의 예술형태. 예를 들면 영상과 그래픽, 음악과 영상 등이 동시적으로 결합되어 표현되는 것을 말한다.
multiple recording 멀티플 레코딩
다중(多重) 녹음.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해서 곡을 각 파트별로 녹음하거나, 이미 녹음된 파트를 들어가면서 다음 파트의 녹음을 겹쳐가는 녹음방법. 다중녹음에서는 4~24트랙의 특수한 테이프 레코더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각 트랙마다 독립해서 녹음, 재생의 작동을 하는 외에 녹음 헤드로도 분리 재생(모니터)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 사이의 타이밍을 쉽게 맞출 수가 있다.
☞ multi track recorder, pingpong recording
multiplexer 멀티플랙서
여러 송출신호를 하나의 직렬신호로 묶은 장치. 예를 들면 병렬 디지털 비트를 직렬(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장치.
multi-way speaker system 멀티웨이 스피커 시스템
스피커 시스템에서 넓은 주파수 범위를 하나의 스피커만으로 커버하기 곤란하므로 주파수 대역별로 나눈 여러 가지의 스피커로 구성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musical 뮤지컬
19세기 후반, 오페레타 및 그 계열의 음악극 형식을 답습하면서 20세기 초기 이래로 미국인의 기호에 맞추어 발달한 종합예술(음악, 무용, 미술 등)로서의 대중 음악극.
musical notation software 뮤지컬 노테이션 소프트웨어
컴퓨터 시퀀스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전통적인 악보를 그리거나 편집하고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어떤 프로그램은 악보 그대로 연주가 가능한 것도 있다.
musique concrete 뮈지크 콩크레트(佛)
구체음악, 구상음악. 여러 소리들(소음, 말소리, 타악기소리 등)을 녹음하고 이를 전자음향 기기로 가공, 구성하여 녹음테이프에 고정 시킨뒤 테이프 조작을 하면서 동시에, 합성되지 않은 소리들을 사용한 음악. 즉 실제의 소리를 추구하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1948년 '피에르 쉐페르'(Pierre Schaeffer)에 의해 시작되었고 많은 현대 음악가들에 의해 실험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musicXML(music eXtensible markup language) 뮤직·엑스·엠·엘(略, 뮤직 익스텐시블 마크업 랭귀지)
응용프로그램 간 대화형 시트음악을 공유하기 위한 표준 포맷. 악보를 XML형식(1996년 W3C가 제안한 웹 문서 표준 형식으로 SGML의 하위셋이라고 볼 수 있다. 디자인에만 제한된 HTML과는 달리 독자적인 애플리케이션, 즉 RDF-resource description format-를 갖는다)으로 표기하는 오픈포맷이다. Recordare사에서 개발해 2004년 1월 버전 1.0이 발표된 후, 2005년 5월 버전 1.1이, 2007년 6월 버전 2.0이 발표되었다. 확장자는 .xmz이다.
피날레, 시벨리우스 등 많은 프로그램이 이 포맷을 지원하고 있고, 변환 플러그인이 다수 개발되었기 때문에 현재 존재하는 대부분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입출력이 가능하다. 비슷한 의도로 개발된 악보 포맷 MusiXML과는 다르다. 또한 MusicX라는 음악 프로그램과도 관련이 없다.
mute 뮤트
① 악기의 정상적인 소리를 멈추게 하거나 여린 소리가 나도록 하는 특수주법(기타, 바이올린 등), 또는 도구(弱音器, 약음기-다양한 금관 뮤트, 바이올린 약음기, 피아노의 왼쪽 소프트 페달 등)기타의 경우는 오른손과 왼손의 각기 다른 주법이 있는데 오른손 뮤트 주법은 손바닥 부분을 브릿지에 대고 피킹하는 것으로 록(rock)에서 저음줄의 리프(riff) 등에 효과적이고 왼손 뮤트는 커팅을 위해, 또는 브러싱 톤(brushing tone)이라고 하여 타악기적(percussive)인 소리와 리듬감을 얻기 위하여 줄을 완전히 누르지 않고 피킹한다. ☞ damping, damper
② 콘솔의 입력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입력 모듈의 출력을 채널 어사인(할당,channel assign)과 직접 출력(direct out)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 테이프 잡음이나 불필요한 마이크로폰 신호를 제거할 때 사용한다.
mystic chord 미스틱 코드
신비화음(新秘和音). 스크리아빈(Scriabin)에 의해 고안된 4도 간격의 다섯음(중첩)으로 이루어진 화음으로 반드시 완전 4도만이 아닌 증 4도(감5도)도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다양한 자리바꿈 꼴을 취해서도 나타난다. 최근에 와서는 합성화음(synthetischer akkord)라고도 불린다. 한편 재즈에서는 4th, 5th interval build(4, 5도 음정의 중첩)의 용어가 있으며 상성부가 높은 음역에 있는 관악기 파트(brass)의 보이싱이나 긴장음(tension)의 확장이라는 용도로 흔히 쓰인다.